실시간 뉴스
  • 자식 용돈주랴, 부모 부양하랴…노후 대비 못하는 ‘베이비부머’
[HOOC=김현경 기자] 1955~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자녀 양육과 부모 부양의 과중한 부담 가운데 정작 자신의 노후 대비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메트라이프생명이 후원하고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가 진행한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 연구’의 3차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독립해 사는 성인 자녀가 있는 베이비부머 비율은 49.8%로 2012년(32.3%)보다 늘었지만 자녀에게 정기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하는 비율 역시 같은 기간 8.8%에서 14.7%로 증가했습니다. 


생존한 부모가 있는 베이비부머 비율은 2010년 61.3%에서 지난해 48.8%로 줄어든 가운데 부모의 병을 간호하는 베이비부머는 같은 기간 8.6%에서 지난해 12.5%로 오히려 늘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한국 베이비부머 4048명을 대상으로 가족, 일과 은퇴, 재무, 건강과 같은 삶의 변화 경로를 살펴보는 연구로, 2010년 1차 조사를 시작으로 2년마다 추적 조사가 진행됐으며 올해 발표가 3번째입니다.

지난해 베이비부머의 연간 가계 총소득은 5160만원으로 2012년 4889만원보다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2012년 베이비부머 가계 총소득을 2014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적용하면 5016만원으로, 실질 총소득으로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평균 근로소득은 271만원으로 2012년 264만원보다 증가했고 월평균 생활비는 같은 기간 277만원에서 259만원으로 줄었습니다.

베이비부머의 지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자녀교육비로 33.5%였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녀 교육비 비중(13.6%)보다 20%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치입니다.

베이비부머의 11.2%는 손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자녀와 배우자에게 재산을 물려줄 계획이 있다는 베이비부머는44.3%에 달했습니다.

반면 은퇴 준비를 제대로 하는 베이비부머는 줄었습니다.

충분한 은퇴 자금을 마련했다는 베이비부머는 전체의 6.1%에 그쳐, 2010년(8.4%), 2012년(7.0%)에 이어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건강 상태도 나빠졌습니다.

정신과 신체가 모두 건강한 베이비부머의 비율은 지난해 48.6%로 2010년(59.4%)보다 10%포인트 이상 감소했습니다.

한경혜 서울대 교수는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까지 5년이 채 남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개인의 삶의 질과 사회 전반의 지속성을 위해서라도 이들의 건강한 노년기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