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취재X파일] 부동산은 심리라는 말, 사실일까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부동산은 심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동산은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경제학보다는 심리학과 밀접하다는 얘깁니다. 이성보다는 감성적 접근이 가능한 경제 영역이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최근 한양대 경제학과 부동산 전공 교수인 진창하 교수로부터 흥미 있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의 박사논문에서 부동산과 심리의 연관성에 대해 일정 부분 다뤘는데 내용인즉슨 인간의 심리적인 부분이 실제 부동산 거래 행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겁니다.

상식적으로 부동산 시장과 심리는 분명히 밀접한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학계에서 부동산과 심리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적이 있다고 하니 반가운 마음 금할 길 없었습니다.
한양대 응용경제학과 부동산 전공 진창하 교수

진 교수에 따르면, 그의 박사 논문은 지난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행동경제학자 또는 인지심리학자인 대니얼 카네만 프린스턴대 심리학과 교수의 이론에 근거해 전개됩니다.

대니얼 카네만이 2002년 당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그의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은 인간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득과 손실을 따로따로 평가하고 이 둘을 합산해서 평가하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이득으로 인한 기쁨보다 손실에 따른 아픔이 2배 이상 크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현대 의사결정론의 근간인 주관적 기대효용 이론(subjective expected utility theory)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입니다.

주관적 기대효용 이론은 하나를 얻고 하나를 잃으면 부의 변동이 없으므로 인간이 느끼는 만족감은 ‘0’이라고 설명합니다. 반면 대니얼 카네만의 전망 이론은 하나를 얻고 하나를 잃으면 인간의 만족감은 ‘마이너스’가 된다고 설명합니다. 즉, 인간이 이득을 얻는 과정에서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정적으로 대응한다는 겁니다. 이는 결국 앞서 논한 ‘부동산은 심리’라는 이야기와 비슷한 맥락입니다.

진 교수가 박사논문에서 수행한 연구 내용도 흥미롭습니다. 그의 논문에서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언론의 논조가 대중들에게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에 대한 연구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에 대한 언론의 논조는 대중들에게 분명히 영향을 줍니다. 특히 언론에서 부동산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논조를 보일 때 대중들의 반응이 더욱 예민하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물론, 부동산 시장에 대해 언론이 긍정적인 논조를 보일 때도 대중들은 이에 따른 반응을 보였지만 언론이 부정적인 논조를 보일 때보다는 덜한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진 교수는 조언합니다. 언론에서 부동산 시장에 대해 보도할 때 더욱 책임감 있게 시장의 파급 효과를 감안해 조심스럽게 임해야 한다고요.

그 말은 대중들이 쉽게 접하는 언론에서 부동산 시장에 대해 다루는 논조에 따라 대중들이 부동산 시장에 대해 감정적, 심리적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즉, 부동산은 심리라는 것이죠.

지난 2007년께 국민들은 부동산은 심리라는 말을 피부로 체감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하루가 멀다하고 부동산이 이상 급등 현상을 보인 적이 있었지요. 200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약 6~7년간은 극도의 시장 침체기를 겪으며 시장이 정부의 온갖 부동산 경기부양 대책에도 불구하고 꽁꽁 얼어있는 형국입니다. 이상 과열 현상이든 이상 과냉 현상이든 모두 부동산에 대한 대중의 심리적 부담과 연관이 있겠지요.

꽁꽁 얼어붙어 있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대중들의 심리는 과연 언제 어떤 계기로 녹아내릴까요.

일단, 부동산은 심리라는 이야기를 학술적으로 뒷받침해 준 학계 여러분들께 감사드리는 바입니다.

만약 그런 연구마저 없었다면 예측 불허인 부동산 시장에 대해 ‘100% 멘붕’ 상태로 팔짱 끼고 구경할 수밖에 없었을 테니까요.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