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금융권 ‘비리 징계자’ 작년보다 배 이상 급증...횡령, 정보유출 등 1~8월 447명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올해 금융권에서 각종 비리로 징계받은 임직원이 지난해보다 두배 이상 급증했다. 고객 돈을 빼돌리는 횡령과 고객 정보 유출은 단골 메뉴다. 최근에는 ‘저학력자’라는 이유로 대출 금리를 높게 매기다 감사원에 적발되기도 했다. 금융권은 여론의 따가운 시선에 등 떠밀려 ‘면피용’ 사회공헌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무엇보다 공공재 성격에 맞는 윤리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비리에 연루돼 징계받은 금융회사 임직원은 모두 44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22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비리로 모두 469명이 옷을 벗은 것을 감안하면 금융권의 비리와 징계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금융비리로 인한 피해규모도 천문학적인 수준이다. 지난 2006년 874억원이던 피해액은 2010년 2736억원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공식 집계되진 않았지만 금융비리 증가세로 보면 지난해와 올해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감독ㆍ관리가 소홀한 2금융권뿐만 아니라 은행 등 1금융권에서도 임직원의 비리가 속속 드러나면서 고객의 불신을 사고 있다. 지난달 시중은행들이 대출 서류 조작 의혹에 휩싸인데 이어 같은 달 29일에는 고객 돈 31억여원을 빼돌려 주식투자에 탕진한 시중은행 간부가 경찰에 구속되기도 했다.

금융권은 뒤늦게 신뢰 회복을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지는 등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가령 시중은행이 앞다퉈 발표한 최고금리 인하 조치로 혜택을 받는 수혜자는 전체 대출자의 2%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 ‘금융소비자보호’라는 명목으로 조직 쇄신을 시도했지만 내부 감사 인력 확충, 징계 강화 등 실질적인 내부통제시스템은 갖추지 않고 있다.

김동환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강화됐지만 정년이 짧아 안정성이 낮아져 한탕주의에 따른 금융비리가 늘고 있다”면서 “내부통제시스템을 강화해 솜방망이 처벌을 막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