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및 유럽발 악재로 높은 변동성의 시기가 지나감에 따라 다시금 투자에 있어 개별 자산의 펀더멘털에 대해 고민할 때가 됐다. 일반적으로 시장 전체를 짓누르는 글로벌 리스크가 해소되는 시기에는 펀더멘털이 견실한 자산일수록 빠르고 강한 상승세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나는 한국 증시의 향후 상승여력과 중국내수 소비 시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지속되는 긴축 정책과 부동산 경기 억제정책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정부가 수출 위주에서 내수위주의 경제성장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만큼 중국 내수소비 시장은 앞으로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엔 대형 은행주 위주로 상승세를 보였다면, 향후에는 내수 관련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시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채권에서는 아시아 하이일드 및 이머징 마켓 채권 시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본다. 채권은 지난 9월 위험자산 가격 조정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미국, 독일 등 국한된 국채로의 자금이탈로 인해 불가피하게 큰 폭의 조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아시아 및 이머징 국가들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및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선진국대비 훨씬 낮은 부채비율 및 재정건전성을 갖추고 있다. 펀더멘털 면에서도 상대적으로 매우 우월한 모습이다. 시장 사이즈 면에서 향후 신규 채권 발행 등을 통해 아시아 하이일드 시장 및 이머징 현지통화발행 채권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역사적으로 주식 등 다른 위험자산과의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왔던 만큼 분산투자 면에서도 투자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투자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여러 요소들에 의해 성패가 결정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장기 분산 투자 등 몇 가지 기본 지침만 잘 지키면 누구나 성공적인 투자를 이뤄낼 수 있다. 투자는 타이밍이 아니라 시간이다. 이것이 시장 변동성이 큰 요즘과 같은 때 투자자들이 기억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성공 투자의 원칙이다.
마이클 리드 피델리티자산운용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