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건설업계 “배드뱅크 설립취지는 환영, 실효성은 의문”
금융권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배드뱅크 설립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벼랑 끝에 내몰린 건설업계는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목전에 닥친 생존 위기 앞에 이제 걸음마 단계인 배드뱅크가 어느정도 실효성을 낼지 의문이라는 목소리가 많다.

한 중견건설업체 관계자는 “부동산PF 대출 만기가 5, 6월에 집중돼 ‘PF발 대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해결방안 모색에 나섰다는 자체가 긍정적인 시그널”이라고 강조한 뒤, “다만 일종의 위기 후속조치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해결책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법정관리 중인 중견건설업체 관계자는 “취지는 백배 공감하지만, 기업구조조정촉진법과 같은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는 제도가 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설립 타이밍도 문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PF대출은 25조원. 이중 절반에 넘는 13조 8000억원은 2/4분기에 몰려있다. 반면 논의 초기 단계인 배드뱅크는 오는 6월께 설립을 마무리하고, 7월부터 본격적인 PF부실채권 매입에 착수한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배드뱅크 설립 전 이미 상당수 중견건설업체가 혜택을 받지 못한 채 쓰러질 것이라는 우려가 일고 있는 것. 30위권 중견건설업체 주택담당 임원은 “PF대출 만기만 한번 돌아와도 생사가 갈리는 상황에서 배드뱅크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때까지 버틸 수 있을 지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업계는 부실채권 매입여부를 결정하는 우량ㆍ부실사업장 판별기준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대형 건설사 한 임원은 “부실사업장 판별여부에 따라 건설사 간 희비가 크게 엇갈릴 것”이라며 “사업성 평가기준을 명확히 세우는 것이 배드뱅크 연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고 내다봤다. 업계에서는 준공후 미분양이나 미착공사업지가 부실현장으로 분류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실제로 한 금감원 관계자는 “얼마나 오래 묶여 있었는지, 얼마를 투입하면 유동성이 살아날 수 있는지를 따져 판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계 위기타계책 중 하나는 분명하나 불경기 속에서는 배드뱅크도 부실채권을 처분하지 못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며 “경기정상화가 수반되지 않는 한 시간벌기식 미봉책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민현ㆍ정태일 기자@kies00>ki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