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동·북阿 왕정국가까지...민주화‘무풍지대’는 없다?
英교수 “전염 가능성 높다”
리비아의 카다피 정권까지 흔들리면서 중동의 모든 국가가 민주화 시위 홍역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토퍼 데이비드슨 영국 더럼대학 교수는 외교전문잡지 포린폴리시(PF)에 기고한 칼럼에서 중동 각국의 상황을 분석하면서 아라비아의 강국이지만 빈민층이 많고 2세 후계구도가 불투명한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 그리고 여러 소왕국으로 구성된 아랍에미리트가 민주화 시위 전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반면 세계 최대의 천연가스 생산국가로 국민들에게 많은 복지를 제공해온 카타르, 그리고 강력한 상인 계층의 발달로 일찌감치 의회가 견제세력으로 자리 잡은 쿠웨이트 등은 시민들이 길거리로 쏟아져나올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막대한 오일머니를 지배층이 국민들에게 얼마나 배분했는지와 의회 민주주의 제도의 발달 수준이 주요 변수인 셈이다.
데이비드슨 교수에 따르면, 중동 왕정국가들의 형성은 멀리 19세기 대영제국이 인도로부터 배편으로 아랍해역을 거쳐 상품을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각 지역의 셰이크들을 인정하고 키워준 데서 비롯됐다.
(미국이 키워준) 사우디 왕조를 제외한 국가들은 대영제국의 패망과 함께 2차대전 전후에 독립했고, 이후 이들 국가의 통치자들은 막대한 오일머니로 국민들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대신 정치 참여를 막고 외국 노동자들의 노동력으로 국가를 운영하며 슬그머니 부족장에서 국왕으로 정권을 굳혔다. 하지만 대부분 단일 왕정이나 독재자가 단일 정당체제를 폭압적으로 유지하면서 왕족 일가가 정부의 주요 보직을 독차지했고, 거액을 외국으로 빼돌려 왕정이 불안해지면 언제든 망명할 곳을 만들어둔 취약한 구조였다.
이번 중동 시민혁명 바람에 가장 주목할 만한 나라는 알-사우드 왕조가 다스리는 사우디아라비아다. 이슬람의 성지 메카와 메디나가 있는 사우디는 이슬람 근본주의를 추종하는 ‘와하비’운동까지 가세해 이슬람권의 중심국가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하지만 견고한 보수사회 구조 때문에 2005년 집권한 압둘라 빈 압둘 아지즈 알-사우드 국왕도 남녀공학 대학 개교와 여성의 운전 허용 등 사회 개혁에 손을 못댈 정도다. 사우디는 특히 왕세자 술탄이 83세인 데다 또 다른 실력자인 내무장관 나예프 왕자도 71세의 고령이어서 후계 구도가 혼란에 빠질 우려가 있다.
토후국 4개가 느슨하게 연합한 형태의 아랍에미리트(UAE)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북부의 가난한 지역 국민들이 시민혁명에 동참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한편 쿠웨이트는 일찍 영국에서 독립하면서 강력한 상인계층이 왕정을 견제하고 의회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왔기 때문에 시민 혁명 가능성은 작은 편이다.
중동에서 가장 적극적인 중립 외교정책을 펼치며 막대한 천연가스 판매로 생긴 국부를 국민들에게 배분해온 카타르 정권은 안정적으로 평가된다.
고지희 기자/j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