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2024. 09. 20 (금)

뉴스속보 리스트

보기옵션 새로고침

뉴스속보 상세보기

산타랠리 없었는데…‘1월효과’도 어렵다?

기사입력

연초 증시 상승 기대감 속
대외변수 여전…회의적 시각도
제약·바이오 등 외인 관심 주목



새해 1월에는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 이른바 ‘1월 효과’를 두고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높아진 밸류에이션과 새해에 대한 기대감, 기관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조정 등으로 연초 증시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연말 ‘산타 랠리’가 사라진 데 이어 ‘1월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온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코스피와 코스닥의 1월 평균 상승률은 각각 0.7%, 3.7%였다. 10차례 중 코스피는 6번, 코스닥은 8번 상승했다. 가장 코스피 상승률이 높았던 1월은 2012년(7.12%), 코스닥은 지난해(14.42%)였다. 특히 지난 10년 동안 2012년, 2017년 두 차례를 제외한 나머지 1월은 코스닥이 코스피보다 훨씬 수익률이 좋았다.

무엇보다 코스닥 대표 업종인 제약ㆍ바이오주의 상승 기대감이 크다. 코스닥시장에서 최근 5년간 1월 평균 상승률은 제약업종이 11.6%를 기록,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외국인은 지난달 10거래일(14~28일) 동안 셀트리온을 1106억원, 바이로메드를 886억원어치나 대거 사들였다.

특히 제약ㆍ바이오주는 연초 미국에서 열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와 올해 신약 임상 통과ㆍ판매 허가 등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큰 상황이다. 1분기에는 대웅제약의 ‘나보타’ 미국 허가,  신라젠은 상반기 ‘펙사벡’ 무용성 진행평가 발표 등 굵직한 모멘텀도 예고돼 있다. 

김상표 키움증권 연구원은 “시가총액 상위 제약ㆍ바이오주를 사들이고 있는 외국인의 순매수가 이어질 경우 코스닥의 연초 급반등과 1월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초 북한과 미국의 정상회담이 현실화된다면 남북 경협주가 반등을 이끌 가능성도 점쳐진다. 핵 신고와 종전선언 여부, 제재 완화 논의 내용 등이 관건이다.

이밖에 1월 발표될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2월부터 본격화될 미국의 인프라 투자 논의도 1월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이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을 발표해 중국 증시가 반등할 경우 한국 증시에도 적잖은 영향력을 발휘할 전망이다. 지난해 하반기 한국 증시는 미국보다는 중국 증시를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1월 효과에 대해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사소한 악재에도 민감하게 반등하는 미 증시와 미ㆍ중 무역분쟁 및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상장사들의 이익도 본격적인 하향 국면에 접어들었다. 실적 장세를 주도해 온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시가총액 상위종목이 포함된 반도체 산업의 업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이를 반영해 지난해 4분기 상장법인 영업이익 추정치를 한 달 전보다 6%가량 하향 조정했다. 올 1분기 예상치도 6% 넘게 줄였다. 올 실적 전망에도 먹구름이 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45조1934억원이었던 코스피 상장사 영업익(163개 기업 기준)은 4분기 38조398억원, 올해 1분기 38조9948억원, 2분기 38조6493억원 등 내리막을 탈 것으로 추정된다.

유승민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문제는 기업 실적 전망이 계속 하향 조정되고 있다는 점으로 단순히 12월 낙폭 과대만으로 1월 증시 랠리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며 “무역 협상 결과나 영국 브렉시트 의회 표결 등 대형 이벤트가 1월에 있다는 것도 위험 선호 심리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KTB투자증권도 ‘1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이재선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의 펀더멘탈(기초 체력)이 약하고, 이익 모멘텀이 없는 상황”이라며 “기업들의 실적 상황과 국내 내부 여건만으로는 증시를 끌어올리기 어려워, 외국인 복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나래 기자/ticktoc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