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접촉 이후 한반도에 훈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과 중국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지난주 존 케리 국무장관의 방중을 계기로 북한 비핵화 촉진에 대한 서로의 안을 주고받은 미국과 중국은 답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에 주력하고 있다. 미중 양국이 검토 중인 북핵문제 해결 방안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북한에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사전조치 이행을 촉구하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 추가 제재에 나서겠다는 내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케리 장관은 미중 협의와 관련해 “양국은 지금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미국은 일정한 안을 테이블에 올려놨고 중국도 나름의 일정한 안을 제시했으며 양측 모두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한 바 있다.
중국에 이어 인도네시아와 아랍에미리트를 방문 중인 케리 장관은 미국에 돌아간 뒤 중국 측 안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고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중국도 대북압박 공조에 나설 것을 기대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책임감있는 대국’으로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면서도 여전히 대화에 방점을 찍고 있다.
외교 소식통은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미국과 대북정책 공조에 이전보다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면서도 “최근 외교부 아주사 부국장과 6자회담 담당 직원의 방북 등을 통해 6자회담 재개의 불씨를 되살리려고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케리 장관이 북핵문제와 관련된 중국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한 데 대해 “중국은 이미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다”며 불편한 속내를 내비치기도 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