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 연방의회에서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를 떠나보낸 뒤 걸어가고 있다. [A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 연방의회에서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를 떠나보낸 뒤 걸어가고 있다. [AP]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이 1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만난다.

두 사람은 유럽이 주도하는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에 대한 미국의 지원 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뤼터 사무총장은 최근 나토 유럽 회원국을 향해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을 주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촉구해왔다. 유럽이 안보 비용을 책임져야 한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발을 맞춘 셈이다. 그러면서도 ‘어떤 형태로든’ 미국의 후방지원(백스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후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지원을 논의 중인 일명 ‘의지의 연합’에 동참하려는 유럽 국가들의 요구사항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 파국 직후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유럽 주요국이 참여한 런던 정상회의를 언급하면서 “그들(유럽 국가)은 미국 없이 일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라며 “러시아에 강력함을 보여주기 위한 차원에서 보자면 그렇게 좋은 발언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이 상황 수습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 서한을 보냈고, 11일 미국과 우크라이나 고위급 회담에서 ‘30일 휴전안’에 합의했다. 미국은 이 회담 이후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정보 제공도 재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러시아에 휴전안 수용을 압박하는 만큼 뤼터 사무총장은 이를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기회로 삼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6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 의제인 방위비 증액 문제도 논의될 수 있다. 나토 회원국 합의에 따라 현재 각국의 방위비 지출 목표치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최소 2%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가이드라인인 탓에 32개국 중 23개국만 이행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6월 전까지 모든 회원국이 2%를 달성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목표치를 5%로 올려야 한다고 압박한다. 뤼터 사무총장도 공개석상에서 3%는 초과해야 한다는 견해를 여러 차례 밝혔다.

나토 집단방위 조약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을 재확인하는 것도 뤼터 사무총장의 임무다. 유럽 회원국 사이에서는 미국이 방위비 문제를 빌미로 유럽 안보에서 발을 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6일 취재진과 문답에서 “나토 국가들이 돈을 내지 않으면 나는 그들을 방어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회동과 관련 “나토 창설 이래 가장 중대한 회의”라고 평가했다. 이어 “뤼터는 나토 나머지 31개국을 대변하는 동시에 가장 강력하고 대체 불가능한 회원국(미국)의 변덕에 동조해야 하는 불가능에 가까운 줄타기를 해야 한다”고 해설했다.


kimsta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