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단면도. [게티이미지뱅크]
신장 단면도.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의료진 10명 중 7명이 만성 콩팥병의 조기진단을 위해 알부민뇨 검사를 통해 콩팥 손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13일 바이엘 코리아는 세계 콩팥의 날을 맞아 2형 당뇨병 환자의 주요 합병증인 만성 콩팥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의료진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국내 의료진 5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콩팥병 조기 진단을 위한 UACR 검사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10명 중 약 7명(69%)이 ‘eGFR 검사만으로는 초기 환자를 놓칠 수 있으므로 알부민뇨 검사를 통해 콩팥 손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만성 콩팥병은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심각한 합병증과 조기 사망을 초래할 위험이 큰 질환이다.

특히, 2형 당뇨병은 만성 콩팥병의 주요 원인으로 국내에서 당뇨병이 말기 콩팥병 원인 질환의 48%를 차지하고 있어 대한신장학회와 대한당뇨병학회 모두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콩팥병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알부민뇨(UACR) 검사와 추정사구체여과율(eGFR)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바이엘코리아 제공]
[바이엘코리아 제공]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콩팥 검사의 주기에 대해 응답자의 61%가 6개월에 1회, 31%가 1년에 1회 정기적으로 시행한다고 답했다.

반면, 임상현장에서 당뇨병 동반 콩팥병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에 대해 eGFR 검사와 UACR 검사를 모두 시행한다고 답한 비율이 절반 정도(50%)였다.

‘eGFR과 요 시험지봉 검사 후 양성으로 의심될 경우 UACR 검사 실시’가 22%, ‘eGFR과 요 시험지봉 검사 실시’가12%로 뒤를 이었다. UACR 검사는 하지 않고 eGFR 검사만 한다는 답변도 15%였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박형천 교수는 “이번 설문을 통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콩팥병 진단을 위해eGFR 검사와 알부민뇨 검사(요 시험지봉 검사)를 모두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많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어 “요 시험지봉 검사 활용이 생각보다 높은 34%로 나타났는데, 제한적인 진료 여건에서도 콩팥 검사의 중요성을 놓치지 않는 의료진들의 노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현정 바이엘 코리아 심혈관 및 신장 질환 치료제 포트폴리오 리드는 “세계 콩팥의 날을 맞아 바이엘 코리아가 발표한 인포그래픽을 통해 2형 당뇨병 동반 만성 콩팥병 환자들이 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당뇨병 동반 콩팥병에 대한 선별 검사를 받을 수 있길 바란다”며 “적합한 환자들이 보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제를 통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진단과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해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silverpap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