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시장 선점 중요한 시점”

“타국가 대비 금융조달 등 지원 부족”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민생경제회복단 제7차 현장 및 전문가 간담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민생경제회복단 제7차 현장 및 전문가 간담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국내 해상풍력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해상풍력 산업은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인만큼 이를 고려한 공공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주민 반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정책적인 보완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5일 최덕환 풍력산업협회 실장은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회의실에서 열린 ‘멈춰선 에너지 전환, 전력산업의 길을 찾다’ 간담회에서 “풍력 제조업은 초기 투자와 기술력이 중요하나 금융조달 등 정부 지원이 타국가 대비 부족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해상풍력 산업은 현재 초기 단계인만큼 선제적 지원을 통한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최 실장은 “시장 지배력이 강한 중국 기업들이 이미 시장 점유를 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값싼 제품들이 수출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해상풍력 관련 시장이 어느 정도 예측돼 있는상황에서 정부 지원이 일정 규모로 나와줘야 선박과 항만에 대한 투자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핵심 기술과 설계는 한국이 하는 대신에, 핵심이 아닌 제품들에 대해서는 타국 제품도 적절하게 활용하는 유연한 제도도 시장에선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역 주민 반발이 큰 해상풍력 산업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 실장은 “지역 주민들을 설득하려면 현장에서 막걸리라도 산다든지, 지붕 태양광을 사주면서 여러 지원을 해야 하는데 공기업들은 이런 민원에 대한 대응 자체가 취약하다”며 “이 때문에 공기업들이 대규모 재생사업을 하기에 위축된 분위기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용춘 한국수산자원연구소장은 “해상풍력 산업에 대한 지역 주민 수용성 부분은 오히려 퇴보한 상황”이라며 “찬반으로 주민들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는 상황에서, 민간 해상풍력 사업자들은 찬성 측 주민들 의견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불신이 더욱 팽배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 협의회 제도를 살려, 어민들이 원한다면 사전 보상이나 폐업 보상 등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사업자들과 면담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며 “이 부분 역시 정부에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해야 실효성이 있다”고 말했다.


k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