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로 혼란을 틈탄 노동계의 ‘정치파업’이 또 도졌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윤석열 정권 퇴진을 내건 총파업을 결의한 가운데 최대 산별노조인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 산하 현대차가 5일과 6일 이틀 동안 총 4시간씩 파업에 들어갔다. 기아와 한국GM 등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파업에 합류하고 전국철도노동조합에 이어 임금협상이 타결된 서울교통공사노조까지 파업에 참여하겠다고 한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상황에 산업계 혼란과 위기감이 크다.

현대차의 부분파업은 민노총 금속노조의 지침에 따른 것으로 쟁의목적인 근로자의 후생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파업 돌입을 위해선 노동위원회 조정 절차를 거친 후 조합원 찬반 투표가 필요하지만 절차도 무시했다. 정치적 목적을 위한 ‘불법파업’일 뿐이다. 현대차를 시작으로 11일에는 500여개 사업장과 19만명의 조합원이 참여하는 금속노조 전체 총파업도 예고된 상태다. 산별 노조들로 확산할 경우 사회혼란과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

문제는 민노총이 “윤석열 정부의 퇴진”을 내세우며 “생산을 멈춰 윤석열 정권의 폭주를 막겠다”고 선언한 상황에서 파업이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정치적 이슈가 쉽게 해결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한숨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사업체 전반으로 확산할 경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하기 어렵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정치 구호를 앞세운 총파업은 사회 혼란을 불러오고 국가 경제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는 만큼 자제해달라”고 하고, 한국무역협회도 “노동계도 파업을 자제하고 경제 살리기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한 이유다.

지금 우리 경제는 백척간두에 서 있다. 우리 경제의 주요 수출 품목들은 이미 중국에 밀려 문을 닫아야 할 처지에 놓인 곳이 한 둘이 아니다. 반도체 조선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등 핵심 산업7개 부문에서 이미 중국에 추월당하거나 격차가 벌어져 따라잡기 어려운 처지가 됐다. 더욱이 트럼프 2기 체제의 보호무역주의 관세 정책으로 수출 타격이 현실화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원화 약세 등 우리를 둘러싼 환경이 녹록치 않다. 경제가 어려우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서민들이 더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불안할수록 소비자들은 더 지갑을 열지 않게 마련이다. 내수마저 꽁꽁 얼어붙어 경제가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계엄령으로 투쟁의 빌미를 준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이 크지만 정국 불안을 부추기는 파업으로 민생을 어렵게 해선 안된다. 정치적 목적을 내세운 파업은 국민 공감을 얻기도 어렵다. 어려운 시기일수록 각자의 자리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