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상현, ‘북러 무기거래’에 “워싱턴선언으로 부족, 핵 기술 이전받아야”
“핵연료 재처리·핵잠수함 기술 받아야”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 후보자 비전 발표회가 지난 2월 7일 서울 강서구 한 방송 스튜디오에서 열려 윤상현 후보가 비전발표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기술을 제공하면 우리도 우크라이나에 살상용 무기를 지원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여 북러 간 무기 거래를 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북한과 모든 무기 거래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형해화시키는 것을 좌시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의원은 이어 “무엇보다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에 따른 실존적 위협에 노출된 한국은 북러 간 무기 거래가 성사될 경우를 대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윤 의원은 “지난 4월 워싱턴선언을 통해 한미핵협의그룹을 창설하고 미국 전략핵잠수함의 정례적 기항에 합의했지만 역부족”이라며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기술과 핵잠수함 기술을 이전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에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작전훈련도 강화해 안전판을 마련해야 한다”며 “미국도 작금의 안보상황과 격상된 한미동맹을 고려해 신뢰를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어제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필요한 재래식 무기를 요청하고 북한은 위성과 핵잠수함 등 첨단 기술을 요구하는 군사협력을 논의했다”며 “푸틴 대통령은 ‘북한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며 첨단 군사기술 제공 의지를 분명히 했다”고 했다.

윤 의원은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 정찰위성을 발사했다 실패했고 수중에서 핵 공격이 가능한 전술핵공격잠수함을 진수했다고 주장하지만 우리 군에서는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며 “그러나 러시아가 위성과 핵잠수함의 첨단기술을 북한에 이전한다면 미완성인 북한의 군사정찰 위성과 핵잠수함 개발에 마지막 퍼즐을 끼우게 될 것이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전례 없는 북러간 밀착으로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비상한 각오로 안보위협에 총력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o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