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가격으로는 안팔아’…집값 바닥론에 단타족 줄었다 [부동산360]
대한민국법원 등기정보광장
3월 집합건물 1년 이내 되판 사례 5.8%
3개월 사이 꾸준히 줄어
“가격 반등하자 버티기에 나선 다주택자 많은 것으로 파악”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서영상 기자]서울에서 아파트 등 집합건물을 사들인 이후 1년 이내에 되판 매도인의 비중이 줄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은 커졌지만 집값 고점시기에 샀던 집주인들이 최근 가격이 반등하자 우선 ‘버티기’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대한민국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집합건물(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오피스텔 등)을 매도한 2514명 중 1년 이내에 되판 사례는 126건으로 5.8%를 차지했다. 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매도인을 보유 기간별로 분석한 자료에 따른 것이다.

이같은 숫자는 지난해 3월 보유기간을 1년 못 채운 매매가 7.1%였던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난다. 또 보유기간이 1년 이내인 매도인은 최근 3개월 사이(2022년 12월부터 6.4%→5.9%→5.8%) 꾸준히 줄어들고 있었다. 범위를 넓혀 집을 3년 이내로 보유하고 매도한 경우도 최근 3개월간 27%에서 26.4%, 25%로 줄었다. 즉 최근 집값이 급격히 오른 3년 사이 집을 매수한 집주인들이 집값이 오를 기미가 보이자 매물로 내놓는 것에 신중해진 것이다.

서울 내에서 집합건물을 구입한 지 1년도 안 돼 매도한 집주인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동작구(12%)였고, 뒤를 도봉구(9.2%)가 이었다. 동작구와 도봉구 아파트를 산 매수인 10명 중 1명 꼴로 1년 이내에 되판 것이다. 반면 노원구(1%), 강남구(2.4%)는 집주인이 매수 후 1년 안에 집을 매도한 사례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 대책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구축 아파트가 많은 노원과 강남에서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 수요가 많은 것으로 평가한다. 또 특히 노원구는 지난해 집값이 급속도로 떨어지면서 반등의 여지도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금리가 급격히 올랐던 지난해 이자 부담을 못 이기고 공포에 의해 손절매했던 매물이 많은 반면 최근 세금과 대출규제 완화가 겹치면서 집값 반등의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면서 “집 매도를 늦추는 다주택자들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s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