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생들 창업한 사회적 기업만 144개
![]() |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해 12월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임팩트 MBA(옛 SE MBA) 졸업생 간담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SK 제공] |
[헤럴드경제=한영대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제안과 SK 지원으로 2013년 3월 세계 최초의 사회적기업가 양성 석사과정으로 출범한 KAIST 사회적기업가(SE) MBA가 10주년을 맞았다. 졸업생들이 창업한 사회적기업(SE)의 총 고용 인원이 1500명 수준에 달하는 등 KAIST SE MBA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5일 SK그룹과 KAIST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10년간 SE MBA 졸업생은 총 153명이다. 이들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업사이클링, 탄소저감 등 환경·사회혁신 분야에서 창업한 SE가 모두 144개로 나타났다.
SK가 이중에서 60개 SE의 사업 현황을 파악한 결과 지난해 말 현재 이들 기업의 총 고용 인원은 876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44개 SE의 전체 고용은 1500명 선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2019년 평균 1억7500만원 수준이던 기업 당 연매출은 3년 만인 2022년 7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했다.
또 졸업생이 창업한 전체 SE는 지난해까지 누적 168건, 총 800억원이 넘는 외부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 회장의 사회적기업가 인재양성 철학이 만든 결실이라고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최 회장은 2012년 “청년실업은 심각한 사회문제지만 기존 영리기업들이 해결하는 데는 한계에 다달았다”면서 “과거 벤처 붐을 일으켰던 젊은이들의 도전정신이 사회적기업 형태로 일어나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SE MBA 설립을 제안한 바 있다.
이후 SK는 매년 SE MBA 장학생 20명 전원의 등록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 KAIST-SK 임팩트비즈니스센터를 설립해 ▷사회적기업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 ▷MBA 커리큘럼 개설 및 교수진 양성 ▷사회적기업가 학술활동 등 연구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년간 풀타임 MBA 과정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졸업생들은 더클로젯컴퍼니(의류 공유 서비스), 케어닥(간병인 매칭 플랫폼), 잇마플(질병 맞춤형 메디푸드 제조 및 판매), 크레파스솔루션(신용 취약계층 금융서비스) 등 대표 SE들을 창업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SK는 사회적기업들이 창출하는 사회성과에 비례해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자사의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SE MBA 졸업자들이 창업한 회사에 총 31억원을 지원했다. 또 애프터레인이 SK임업과 정원 관리사업, 컨셔스웨어가 SK케미칼과 친환경 인조가죽 개발에 나서는 등 SK 관계사와의 연계 사업 추진에도 도움을 줘왔다.
SE MBA는 지난해 말 환경부가 후원해 오던 KAIST 녹색경영정책 프로그램까지 흡수해 소셜벤처 및 녹색성장 과정을 운영하는 임팩트(Impact) MBA로 확대 개편됐다. 학년 당 정원을 기존 20명에서 40명으로 늘리고, 창업 과정으로 입학하는 학생에 대해서는 SK가 전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조경목 SK 수펙스추구협의회 SV위원장은 “사회적기업가 양성에 특화된 KAIST의 전문교육과 SK그룹의 자원을 활용해 유능하고도 혁신적인 SE 인재를 키우는 일에 앞으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yeongda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