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1일 B-1B 전략폭격기 투입 연합훈련
![]() |
한미 공군이 1일 서해 상공에서 한국 공군 F-35A 전투기와 미측의 B-1B 전략폭격기 및 F-22·F-35B 전투기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연합공중훈련을 시행했다. [국방부 제공]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국과 미국이 미 전략폭격기 등을 투입해 2023년 첫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한 가운데 북한은 ‘초강력 대응’을 언급하며 반발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2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전략자산을 더 많이 전개하겠다고 밝힌 것을 겨냥해 “미국의 그 어떤 군사적 기도에도 ‘핵에는 핵으로, 정면대결에는 정면대결로’라는 원칙에 따라 초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변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기도하고 있는 그 어떤 단기적 및 장기적인 각본에도 대처할 수 있는 명백한 대응 전략을 가지고 있다”며 “가장 압도적인 핵 역량으로 현재와 미래의 잠재적인 도전들을 강력히 통제 관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이 조선반도(한반도)와 주변지역에 전략자산들을 계속 들이미는 경우 우리는 그 성격에 따라 어김없이 해당한 견제활동을 더욱 명백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은 가장 극악무도한 대조선(대북) 적대시 정책을 추구하면서 뻔뻔스럽게도 대조선 적대 의도가 없다는 기만적인 간판을 내들고 우리와의 대화를 제창하며 시간을 얻어 보려고 꾀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적대시 정책과 대결 노선을 추구하는 한 미국과의 그 어떤 접촉과 대화에도 흥미가 없다”며 미국의 대화 복귀 촉구를 일축했다.
앞서 오스틴 장관은 지난달 31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미 전략자산이 보다 자주 한반도에 전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5세대 전투기 F-22와 F-35, 로널드레이건 항공모함이 전개한 바 있다”며 “이런 것을 더 많이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한미 공군이 1일 서해 상공에서 한국 공군 F-35A 전투기와 미측의 B-1B 전략폭격기 및 F-22·F-35B 전투기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연합공중훈련을 시행했다. [국방부 제공] |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가 한미 국방장관회담 뒤 미 전략자산이 동원된 가운데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한 직후 나왔다는 점도 주목된다.
한미는 1일 한국 공군의 F-35A 전투기와 미측의 B-1B 전략폭격기와 F-22·F-35B 전투기 등이 참여한 가운데 서해 상공에서 올해 첫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했다.
국방부는 이번 훈련에 대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비 강력하고 신뢰성 있는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미국의 의지와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한미 공군의 연합작전수행 능력과 상호운용성을 증진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시적이고 조율된 전략자산 전개를 적극 구현하며 행동하는 동맹으로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자 하는 양국의 굳건한 결의가 반영된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미는 앞으로도 미국 전략자산 전개와 연계한 연합훈련을 강화해 미국의 확장억제에 대한 한국 국민의 신뢰를 높이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한 능력과 태세를 굳건히 한다는 계획이다.
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