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분당갑 출마 시사…원내 진입 발판으로 당권 도전
李 “安 당권 도전? 제가 깃발 넘겨주면 그것도 재밌을 것”
安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성급해”…李 “메시지 주의하라”
![]() |
지난달 2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대통령직인수위원회 첫 당정협의에 안철수 인수위원장과 이준석 대표가 참석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정치적 악연으로 꼽히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신경전이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간 합당 후에도 이어지며 ‘불편한 동거’를 이어가는 형국이다. 대체적으로 이 대표가 안 위원장을 향한 날선 발언을 내놓곤 하는데 이러한 배경에는 당권 도전을 염두에 둔 안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 뒤따른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안 위원장의 경기 성남 분당갑 보궐선거 출마를 공식화한 가운데 이 대표는 안 위원장 전략공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대표는 전날 라디오 방송에서 “전략공천은 애초 (공천) 신청을 받지 않고, 신청받은 사람 중 뛰어난 사람이 없어서 다 제치고 새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라며 “(안 위원장은) 전략 공천에 해당하지 않고 다른 공천자들과 마찬가지로 단수공천과 경선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앞서 안 위원장과 관련해 ‘꽃가마는 없다’고 밝힌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이어 안 위원장의 출마 여부에 대해 “제가 안 위원장과 긴밀한 소통을 하겠나. 알려줘도 저한테 마지막에 말해주실 것 같다”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안 위원장이 분당갑 보궐선거 후보군으로 하마평에 오른 직후부터 거듭 “본인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거취 표명을 압박해왔다.
안 위원장은 전날 “지선에서 승리해야만 새롭게 출범하는 정부가 국정운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그리고 개혁할 수 있다”며 “저는 분당갑 뿐 아니라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승리를 위해 제 몸을 던질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판교에 위치한 안랩 사옥 등 분당갑과의 연고를 언급하며 사실상 출마 의지를 내비쳤다.
이 대표가 안 위원장의 분당갑 출마 여부와 공천 방식을 놓고 연일 압박성 발언을 내놓는 이유는 안 위원장이 원내 입성한 뒤 당권 도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공동정부를 선언한 안 위원장이 ‘1기 내각 참여’가 아닌 당내 기반 확보로 방향을 잡은 만큼 분당갑 출마는 안 위원장으로서는 좋은 기회다. 원내 진출에 성공해 세력을 확장하면 당권 도전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 위원장의 분당갑 등판이 예고된 만큼 이 대표의 견제 수위는 더욱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차기 당권 주자인 김기현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3일 라디오 방송에서 “(안 위원장이 분당갑이 아닌) 험지에 가서 이겨주시면 좋겠다”라며 인천 계양을 출마를 촉구한 것도 이 대표의 견제와 비슷한 맥락이다.
이 대표는 전날 안 위원장이 의원직을 발판으로 당권에 도전할 가능성에 대해 “제가 안 위원장에게 내년에 깃발을 넘겨주는 상황이 된다면 그것도 나름 재미있지 않겠나”며 “그런데 그거야말로 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지방선거 출마 관련 질의응답하는 안철수 6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열린 경기도 지역 정책과제 국민보고회를 마친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지방선거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
공천 문제 외에도 이 대표는 안 위원장이 이끈 인수위 활동과 관련해서 이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대표는 인수위가 발표한 110대 국정과제에서 ‘여성가족부 폐지’가 빠지고 ‘병사 월급 200만원’ 공약이 취임 직후가 아닌 2025년까지 단계적 인상으로 조정된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아쉬움을 표출했다.
같은날 이 대표는 병사 월급 200만원 공약이 사실상 파기된 것과 관련해 “인수위에서 매끄럽지 못하게 처리한 부분이 있다”며 “인수위 50일 내내 별말 없다가 막판에 가서 갑자기 2025년 이렇게 하고 끝났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30일엔 이 대표는 안 위원장이 정부의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방침을 “성급한 판단”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는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고 정면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의 갈등 상황으로 비춰져서는 안 되는 문제이고 많은 국민들과 소상공인들의 생계와도 직결된 문제”라며 “인수위에서 가진 우려가 신구 정권 간 갈등으로 비춰지지 않도록 각별히 메시지를 주의했으면 한다”고 경고했다.
hwshi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