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속수무책 요소수 품귀 파동, 물류대란 확산은 막아야

요소수 품귀 파동이 심각하다. 주유소마다 요소수를 넣기 위해 디젤차량이 장사진을 이루고 대형 마트의 재고는 바닥난 지 오래다. 가격은 다락같이 올랐고 그나마 구하지 못한다. 주문은 취소되기 일쑤고 개별 거래 사이트에선 기존가의 10배 넘는 가격에 거래되기도 한다. 지난해 겪었던 마스크대란과 판박이다.

환경 규제가 강화된 2015년 이후에 등록한 디젤차는 배출가스 저감장치(SCR)를 의무적으로 써야 한다. 요소수는 이 저감장치에서 배출가스를 줄이는 촉매제다. 석탄이나 천연가스에서 뽑은 요소(암모니아)에 증류수를 섞어 만든다. 문제는 요소 수입의 97%를 중국 수입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올 들어 호주산 석탄 무역갈등을 벌이던 중국이 요소 생산량이 급감하자 지난달 15일 요소 수출을 전면 금지해 국내 생산에 차질이 빚어진 것이다. 2개월의 국내 재고를 고려하면 앞으로 한 달 이내에 대안을 찾지 못하면 그야말로 파동을 넘어 대란으로 번지게 된다.

실제로 요소수 고갈의 후폭풍은 상상 이상이다. 가장 먼저 디젤차의 운행 중단이다. 승용차는 대중교통이나 휘발유차, 전기차로 대체 가능하다. 하지만 화물차는 대안이 없다. 국내 화물차의 60%가량이 디젤차량이다. 유류운송차와 택배, 심지어 소방차, 구급차까지 멈출 수도 있다. 업종을 불문하고 생산부터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피해가 생긴다는 얘기다.

벌써 온라인상에선 농업용 요소에 물을 타서 쓰거나 경고등이 들어와도 무시하고 운행한다는 등의 대체용품과 편법에 대한 질문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물론 “저감 시스템을 망가뜨려 수리비가 엄청나게 들어간다”며 완전 잘못된 정보라는 댓글들이 달리긴 하지만 피해 사례가 나올 가능성은 여전하다.

상황이 이쯤 되니 정부도 2일 관계부처 회의를 열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요소의 신속한 검사 진행을 중국 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러시아 등 대체 수입처를 확보하면 신속 통관도 지원한다. 산업용 요소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석탄과 LNG 이외의 암모니아 추출방안도 점검해볼 일이다.

이 정도로 요소수 대란이 해결되면 다행이지만 그걸로 끝나서는 안 된다. 한 곳으로의 종속은 아주 작은 품목의 공급·생산망 차질로도 국가적인 대란을 불러온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미 일본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핵심 품목 수출 규제로 혹독한 경험을 치르지 않았는가. 강력한 소부장 정책으로 지금은 기술독립과 수입다변화의 결실이 나타나고 있다.

소부장이 ‘예방백신’이었다면 요소수 대책은 ‘부스터 샷’이 돼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