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플랫폼 기업 기금으로 해결 필요”
원희룡 “李지지층 상당이 ‘공평 파멸’ 바라”
![]()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이 25일 오후 대전시 서구 만년동 KBS대전방송총국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전·세종·충남·충북지역 대선 경선 후보 합동토론회 시작 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열, 홍준표, 원희룡, 유승민 후보. [연합] |
[헤럴드경제=이원율·신혜원 기자] 국민의힘 대선 주자 4명이 25일 대전시 서구 KBS 대전방송국에서 열린 제7차 합동토론회에서 격돌했다.
각 주자들은 대전·세종·충북·충남 지역에 대한 각자의 공약을 피력하는 한편, 서로가 서로의 주장에 대해 거듭 견제구도 던졌다.
이날도 '양강'으로 칭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홍준표 의원은 기싸움을 했다.
두 사람은 노동조합과의 '사회적 대타협' 해결책을 놓고 맞붙었다.
홍 의원은 윤 전 총장을 지목해 "(노조와의)사회적 대타협을 하는 데 성공한 나라는 아일랜드"라며 "'유럽의 병자'였으나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선진국으로 올라섰다"고 했다. 이어 "노·사·정이 다 합의해야 사회적 대타협을 할 수 있다"며 "윤 전 총장은 민주노총 같은 노조와 어떻게 타협할 생각인가"라고 했다. 윤 전 총장은 이에 "해고는 자유롭게 하되 사회적 안전망을 확실히 보장하는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를 하면 좋겠으나 현실적으로는 어렵지 않을까 한다"며 "이 때문에 유승민 전 의원에게 사회적 대타협을 이끌 안을 물어본 것이다. 쉬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홍 의원은 "민노총은 노·사·정 기구에서 탈퇴한 지 오래됐다"며 "지금은 정부가 경고하고 서울시가 불법이라고 해도 대규모 시위를 한다. 어떻게 할 생각이냐"고 되물었다.
윤 전 총장은 "홍 의원은 강경히 진압해야 한다고 했는데, 과연 할 수 있는 문제인지 현실적인 방법을 (찾는 게)중요하다"고 맞받았다. 홍 의원은 "법치주의에 근거해 강경히 할 때는 해야 한다"고 했고, 윤 전 총장은 "노사간 협상력을 동등히 부여하고, 법을 위반했을 때는 엄정히 처리하겠다"고 했다.
홍 의원은 윤 전 총장을 향해 "대통령이 되면 언론개혁은 어떻게 할 것이냐"고도 했다. 윤 전 총장은 "언론도 서로 경쟁하게 만들겠다"며 "언론기관도 서로 건강히 경쟁할 여건을 조성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이 25일 오후 대전시 서구 만년동 KBS대전방송총국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전·세종·충남·충북지역 대선 경선 후보 합동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열, 홍준표, 원희룡, 유승민 후보. [연합] |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윤 전 총장과 홍 의원에게 거듭 날카롭게 질문했다.
유 전 의원은 윤 전 총장을 향해선 "플랫폼 노동자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윤 전 총장은 갑자기 들어온 질문에 당황한 듯 답변할 내용을 찾는 데 평소의 대답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 걸렸다. 윤 전 총장은 "일반 근로자와 비교해 너무 열악하다"며 "이분들에게도 고용보험을 확대하는 방안을 생각해보겠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이분들이 고용 보험을 가입하도록 만든다(는 것인가)"라고 되묻자 윤 전 총장은 "어렵기는 하다. 잘 들어오지 않으려는 경향도 있다"고 대답했다. 유 전 의원은 "저는 플랫폼 기업이 '라이더'든 보행자든 교통사고 등 피해가 유발될 때 (쓸 수 있는)기금을 만들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유 전 의원은 홍 의원의 '공매도 전면 폐지' 공약을 놓고는 "큰 자본시장을 갖는 미국, 영국, 홍콩 등 다른 나라도 공매도를 완전히 폐지하지는 않는다"며 "예상치 못한 부작용으로 '동학개미' 등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홍 의원은 이에 "유 전 의원이 경제 전문가라 정통한 만큼, 다시 돌아가 우리 참모들과 논의를 해보겠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홍 의원이 100조원 규모의 '선진 대한민국 미래펀드'(가칭)를 조성하겠다고 한 데 대해 "어떻게 운용하고 돈을 벌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보장하겠느냐"고 했다. 홍 의원은 "대통령이 되면 유 전 의원과 자세히 의논하겠다"며 "어떻게 해서 수익이 나는지를 다 의논할 것"이라고 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향한 저격전을 이어갔다.
원 전 지사는 '청년은 더 이상 꿈을 꾸지 않고, 불공평한 생존보다 공평한 파멸을 바라기 시작했다'는 말이 SNS에서 유행한다며 "나보다 잘 나가고 많이 배운 사람들을 끌어내려 공평한 파멸이라도 속시원히 해줬으면 좋겠다는 것으로, 이재명 후보에 대한 상당한 지지 기반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은 이에 "(이 후보가 사법시험에 합격한)시절은 판·검사가 됐든, 변호사로 개업했든 어렵지 않게 상당한 재산을 모을 수 있었다"며 "이 후보가 흙수저로 자신과 같은 입장에 있던 사람들을 끝까지 보호하고 아끼려는 마음이 있었다면 절대로 대장동 같은 일은 생길 수 없다. 이미 특권층에 편입된 사람"이라고 했다.
원 전 지사가 "이 후보를 지지하는 지지층 중 '공평한 파멸'을 원하는 지지 동기가 있다면 어떻게 해소할 것이냐"고 묻자 "우리가 그런 분들에게 희망을 드려야 한다. 공정과 상식을 통해 희망을 드릴 것"이라고 했다.
홍 의원은 "이 후보를 키운 것은 사회에 대한 증오심"이라며 "그런 지지층이 그렇게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yul@heraldcorp.comhwshi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