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방 다지기’ 나선 이재명…‘전두환 옹호’ 尹에 집중포화[정치쫌!]
국감 후 첫 행선지로 ‘광주’ 선택해
광주 찾아 경선 상처 달래기 집중
尹 ‘전두환 발언’ 겹치며 공세 전환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2일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 5·18 구묘역(민족민주열사묘역)을 참배하고 나오면서 전두환 비석을 밟고 있다. 이 후보는 묘역 입장 시에도 전두환 비석을 밟으며 국민의힘 대권주자 윤석열 후보를 언급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국정감사 이후 첫 행선지로 광주와 봉하마을을 선택하며 ‘집토끼 챙기기’에 나섰다. 특히 야권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전두환 옹호’ 발언을 계기로 이 후보는 야권을 견제하는 동시에 경선 과정에서 떨어진 당내 지지 확보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 후보는 지난 22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는 자리에서 참배객들이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된 '전두환 돌판'을 밟은 뒤 “윤 후보님은 존경하는 분이라 밟기 어려우셨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윤 후보가 앞서 “호남인들도 전두환이 정치는 잘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셈이다.

이 후보의 비판은 참배 동안 계속 이어졌다. 2묘역에 위치한 이한열 열사 묘 앞에서는 “아무 생각 없이 살다 보면 안중근 열사로 착각하고 그러지 않느냐”고 지적했는데, 앞서 윤 후보가 이한열 열사의 사진을 두고 “부마항쟁인가요”라고 물었다가 논란이 됐던 것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참배를 마친 후에는 아예 윤 후보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 후보는 “윤 후보의 발언이 사실 특별히 놀랍지는 않다. (윤 후보는) 민주주의, 인권과 평화를 위해서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았고 민중들의 피와 땀으로 만들어진 민주주의 체제 속에서 혜택만 누리던 분”이라며 “전두환이라는 이름이 가지는 엄혹함을 전혀 이해하지 못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 후보의 발언은) 살인강도도 강도살인을 했다는 사실만 빼면 좋은 사람일 수 있다는 얘기”라며 “무슨 말씀을 더 드리겠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어 전 전 대통령을 향해서는 “나치 전범은 지금도 추적해 처벌하고 있다. 그래야 다시는 나치 전범 사례가 생기기 않기 때문”이라며 “우리 사회 역시 국가 폭력범죄에 대해서는 공소시효를 배제해야 한다”라며 “전두환 그분이 제발 오래 사셔서 법이 바뀌어서라도 꼭 처벌받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 후보가 본격적인 대선 행보 첫 행선지로 광주를 선택하며 강한 메시지를 낸 것은 그간 경선 과정에서 보였던 ‘원팀’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이 후보는 전남과 광주 지역 경선에서 유일하게 2위였던 이낙연 전 대표에게 패했었는데, 경선 상처를 빨리 회복하기 위해서는 광주ᆞ전남 지역 다지기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광주와 전남은 이 전 대표를 강하게 지지했던 지역으로, 아직 원팀 선대위가 구성되지 않고 있는 등 경선 여파가 남은 상황에서 광주에 대한 지지 호소가 제일 필요한 상황이었다”라며 “때마침 윤 전 총장의 호남 발언이 터지며 이 후보에게는 좋은 기회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일까지 이어졌던 국정감사에서 야권의 집중 공세를 받았던 이 후보 측은 뒤이어 윤 전 총장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반격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이 후보 경선캠프 대변인을 지낸 현근택 변호사는 이날 “윤 후보는 국민이 개로 보이는가”라며 “여론에 등 떠밀려 어쩔 수 없이 사과를 했지만, 진정성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 대변인인 박찬대 민주당 의원도 논평을 통해 “이런 인식을 가진 사람이 제1야당의 대통령 후보로서 1~2위를 다투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경악스럽다”라며 “망언이 일상화된 윤 후보의 민낯에 ‘부끄러움의 몫’은 언제까지 국민이 되어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