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가격 조정 산업생태계 조성
‘경쟁력 강화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발표
![]() |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에너지전담 차관)이 18일 대전시 유성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 ‘청정수소 관련 산업계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정부가 연말까지 기술 상용화 등 국내 수소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포함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발표키로 했다. 또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현재 ㎏당 1만원에서 2030년까지 3500원으로 낮추는 등 청정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박기영 제2차관(에너지전담 차관)이 전날 대전 유성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주재한 수소업계 기업인들과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방문은 지난 8일 2차관 취임 후 수소경제 관련 첫 현장 행보로, 수전해·그린암모니아 등 청정수소 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청정수소를 활용한 탄소중립 실현 방안 등을 업계 관계자들과 논의하기 위해 추진됐다.
업계에서는 두산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SK E&S, 한화솔루션, ㈜원일TNI, ㈜대웅ET, ㈜상아프론테크 등이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국내 수소 분야 전 주기에 걸쳐 고르게 기술력을 확충하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동시에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그러면서 기술개발이후 실증사업 확대를 비롯한 탄소포집·활용기술(CCUS)을 통한 청정수소 국내 생산, 수소터빈·그린암모니아 등 무탄소 전원 상용화, 해외 수소 개발·운송 기술 분야 투자 등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앞서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전국 수소차 충전소 110기 구축 등 수소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SK액화플랜트, 현대차, 포스코 등 기업들도 지난 3월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에 발맞춰 2030년까지 총 43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박 차관은 “수소법 개정을 통해 청정수소 인증제도와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 및 판매·사용제도 도입을 추진하겠다”면서 “기업들도 미래 글로벌 수소 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무탄소전원 및 해외수소 도입·운송 관련 기술 상용화 등 국내 수소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 방안이 포함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연내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