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성숙해진 올림픽 문화...메달 위주 병역특례 손볼 때 됐다

2020 도쿄 여름올림픽이 8일 저녁 17일간 열전의 막을 내렸다. 성적을 떠나 최선을 다한 우리 선수단 모두에 뜨거운 격려와 찬사를 보낸다. 매 경기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며 보여준 이들의 가슴 뭉클한 감동의 드라마는 코로나19와 폭염에 지친 국민에게 더없이 청량한 활력소가 되었다.

무엇보다 반가운 것은 한층 성숙해진 우리의 올림픽 문화다. 특히 이번 올림픽은 시상대에 오르지는 못했으나 금메달보다 값진 ‘4위, 5위’의 약진이 부쩍 많았다. 남자 높이뛰기에서 세계를 놀라게 했던 우상혁 선수, 남자 스프링보드3m에서 한국 다이빙 사상 역대 최고 성적을 올린 우하람 선수가 그 대표적이다. 4위에 그친 여자배구와 수영 100m 결승에 진출한 황선우 선수의 황금빛 ‘5위 레이스’는 감동의 절정이었다. 실제 국민은 댓글창 등을 통해 금메달보다 더 큰 응원을 보내며 이들과 마음을 나누었다. 메달 위주의 ‘성적 지상주의’에 벗어나 결과보다 과정에 열광하는 스포츠 관전 문화가 정착되고 있는 것이다.

이쯤에서 되짚어봐야 할 대목은 병역특례와 연금 등 성적 우수자에 대한 보상 제도다. 국위를 선양한 운동선수에게 병역 혜택을 주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다. 다만 올림픽 동메달 이상,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자로 대상을 한정하는 게 공정하고 합리적이냐는 것이다.

스포츠 경기는 종목 간 세계 수준과의 격차와 난이도 매우 크다. 육상·수영 등 비인기 기초종목은 사실 동메달은 고사하고 올림픽 결승 라운드조차 밟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게다가 반짝 메달로 혜택을 받는가 하면 각종 국제대회에서 꾸준한 성적을 올리고도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하는 선수도 적지 않다. 야구의 경우 강호들이 출전하지 않고 그나마 일본은 아마추어로 선수단을 구성하는 아시안게임에 우리는 리그까지 중단하고 프로선수들이 출전해 손쉽게 금메달을 따 병역을 면제받는 것은 누가 봐도 공정하지 않다. 이번 올림픽에서 유독 야구가 국민의 외면을 받은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런 점들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보자는 것이다.

당장 생각해 볼 수 있는 게 차등 누적 점수제다. 가령 올림픽의 경우 1위부터 8위까지, 아시안게임은 1위부터 3위까지 차등화된 점수를 부여하면 된다. 특히 기초 종목 육성 차원에서 수영 육상 등에는 가산점을 주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렇게 해서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하면 병역특례 대상자로 지정하면 모든 종목에 고루 충분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우수 선수들에게 지급되는 연금도 같은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