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선행보’ 재개한 이낙연…키워드는 청년-일자리-신산업[정치쫌!]
중기중앙회·경총·바이오행사 방문 공식행보 재개
‘비공개 민생투어’서 들은 청년 목소리 적극 반영
이낙연(오른쪽)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방문해 손경식 경총 회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4·7 재보선 이후 ‘잠행’을 이어오던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권도전을 위한 공식행보를 재개했다.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잇달아 찾아 청년 일자리에 대한 ‘통큰 확대’를 요청했고, 이같은 행보의 연장선상에서 바이오헬스본부 행사에 참가해 ‘신산업 육성’을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4일 경총을 찾아 손경식 회장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일자리 창출에 고심하고 있지만 좋은 일자리, 오래 가는 일자리는 기업들이 만들어 주셔야 한다”며 “고용이 늘고 국민의 살림이 늘어야 기업들의 제품을 사고 쓸 소비자도 늘어나게 된다. 기업들이 통 크게 대규모 공개채용에 나서주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정부 일자리 창출의 한계를 언급하면서까지 민간기업 채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이 자리에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의 시름과 고통이 크다.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 실업률이 10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고,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은 27%나 된다”며 “최근 기업의 채용방식이 수시채용으로 바뀌면서 청년들의 정보 접근성이 양극화하는 경향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지난 4·7 재보선에서 확인된 2030 민심을 달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업의 구체적인 채용방식까지 언급한 것은 지난달 ‘비공개 민생투어’에서 들은 청년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지난달 26일 페이스북에 “광주, 부산, 창원 등에서 여러 청년의 말씀을 찬찬히 들었다”고 밝히며 청년 정책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불필요한 규제개혁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민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규제개혁 법안 중 경제계에서 통과 요청한 법안부터 우선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당과 정부는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공급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특별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기업이 투자하는 직업교육에도 대대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며 “청년직업교육은 추경을 해서라도 재원을 확보하겠다. 또 기업들의 신규 채용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고용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2배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에 앞서 김기문 중기중앙회회장을 만난 자리에서도 “오늘 저는 청년고용을 부탁드리려고 왔다. 중소기업들이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어려운 가운데서도 통 크게 청년들을 많이 채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 회장이 제안한 청년 PPP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겠다며 “청년을 신규채용하는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PPP제도란 근로자 급여보호프로그램으로, 중소기업이 고용을 유지하고 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급여에 사용하는 등 정해진 기준을 충족할 경우 채무상환을 감면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특히 이 전 대표는 이날 찾은 두 곳의 경제단체에서 “바이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신산업 분야에는 향후 10년간 58만명의 인력이 부족, 당분간 매년 15만명씩을 신규채용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신산업 중요성 역설’의 연장선상에서, 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일정으로 민주당 바이오헬스본부가 서울 여의도 산림비전센터에서 개최한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전략2030’ 정책보고서 발간 기념식에 참석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이 자리에서 “바이오헬스산업은 최근 5년 사이 연평균 5%대 성장을 지속해 세계의 여러 산업 중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세계의 바이오헬스 시장은 자동차의 두 배 이상으로 커지고 있다”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조기 진단 등 정밀의학, 원격진료 같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확대를 예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정부도 시스템반도체, 미래차와 함께 바이오헬스산업을 차세대 국가 주력산업으로 선정해 육성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풀어가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바이오헬스산업의 본부는 가장 중요한 것이 R&D 개선과 국제적 흐름에 맞춘 규제혁신”이라며 “이를 가시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신산업의 집중 육성 필요성도 역설했다. 이 전 대표는 “대한민국이 미국, 영국, 독일에 이어 백신 제약 4강으로 도약하도록, 반도체의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백신기업 출현을 과감히 지원하자”고 강조했다.

이어 “선진국에서 개발된 백신이 생산국 우선으로 배분되는 현실을 겪으면서, 백신주권 확보가 얼마나 긴요한지 절감했다”며 “이번 또는 차기 정부에서 대통령 직속 백신개발위원회를 설치,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