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칼럼] ‘농촌 소멸’ 막을 방법은

2010년 시작된 귀농·귀촌 전성시대는 지금도 유효하다.

비록 2017년 처음 ‘귀농·귀촌 50만 시대’를 연 뒤 2018년 49만여명, 2019년 46만여명 등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도시민이 농촌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문제는 귀농·귀촌 전성시대(2010~2019년)에도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인구는 일부를 제외하곤 되레 감소했다는 것이다. ‘농촌 소멸론’이 더욱 고개를 드는 이유다. 특히 ‘귀농 1번지’로 불리는 지자체의 인구 감소는 충격적이다.

실제 전남 고흥군(귀농인구 2019년 1위, 2018년 4위, 2016년 5위)의 경우 2019년 말 인구는 6만4913명으로, 2010년 말에 견줘 9000명 이상 줄었다. 전북 고창군(2019년 5위, 2018년 1위)도 2010~2017년 줄곧 지켜온 인구 6만명 선이 2018년에 깨지면서 계속 감소세다. 경북 의성군(2019년 2위, 2018년 3위, 2017년 3위)과 상주시(2019년 3위, 2018년 5위, 2017년 4위, 2016년 4위)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사실 2019년 전체 귀농·귀촌인구 46만여명 중 귀농인구는 1만6181명(3.5%)에 불과하다. 결국 농촌 지자체의 인구 늘리기는 절대다수인 귀촌인 유입이 관건이다.

‘어디로 갈 것인가?’를 놓고 고민 중인 예비 귀농·귀촌인이라면 ‘농촌 소멸론’ 속에서도 귀농·귀촌 전성기 동안 인구가 늘어난 지자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국가 균형발전을 목표로 공공기관을 이전시킨 혁신도시 소재 지자체를 들 수 있다.

경북 김천시, 경남 진주시, 전남 나주시, 전북 완주군, 강원 원주시, 충북 진천·음성군 등이 그렇다. 이 중 나주시는 혁신도시와 광주광역시 접근성에 더해 귀농인 유입(2019년 4위, 2018년 2위)까지 맞물리면서 2010년 말 9만여명이던 인구가 2019년 말 11만4700명으로 늘었다. 도청 이전, 신도시 개발 등의 재료를 가진 전남 무안군, 경북 예천군 등의 인구도 증가했다.

이와 함께 전남 광양시, 충남 서산·당진·아산·천안시, 경남 양산시, 경북 경산시 등도 인구가 늘었다. 대체로 농업 외 산업비중이 큰 시라는 점이 특징이다.

정주 여건이 좋은 일부 시도 인구가 증가했다.

강원 춘천시는 2010년 말 27만명이던 인구가 올 9월 말 28만2012명으로 늘었다. 전남 순천시도 2010년 말 27만2600명에서 올 9월 말 28만2200명으로 증가했다.

일관성 있는 귀농·귀촌정책의 추진 여부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기도 한다.

강원 횡성군은 다각적인 귀농·귀촌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친 결과, 점진적인 인구 증가 성과(2010년 말 4만4254명→2019년 말 4만6575명)를 거뒀다.

반면 전국 첫 귀농·귀촌특구로 지정된 이웃 홍천군은 민선 7기 들어 귀농·귀촌 정책이 되레 후퇴하면서 2018년 말 인구 7만명이 깨지더니 2019년 말에는 2010년 말 인구(6만9893명)마저 하향 돌파했다.

결론적으로 농촌 인구 늘리기에 있어 농업(귀농)만으로는 역부족이다.

결국 귀촌인 유입을 통한 농촌 활성화가 우선이고, 그 연장선에서 농업(귀농)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촌 지자체는 살기 좋은 정주 여건 조성, 혁신도시 등 지역 개발, 일자리 창출 산업 확충, 지속적인 귀농·귀촌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농촌 소멸론’ 속에서도 인생 2막 귀농·귀촌지역을 탐색 중인 도시민에게 이는 중요한 이정표다.

박인호 전원 칼럼니스트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