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더머니] 스멀스멀 올라오는 코로나發 금융위기론
‘위기전문가’ 카르멘 라인하트의 경고
IMF, 올 세계 공공부채 사상 최대 예상
이주열 “부채 증가세, 우려 안할 수 없어”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올 초 발생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들이 국채 발행 및 매입 등을 통해 대단위 유동성 공급이 나섰다. 그러나 글로벌 확진자 수가 줄어들지 않으면서 실물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 여기에 추가 재정 지원까지 필요해진 상황에서 정부, 기업, 가계의 부채 규모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수준을 뛰어넘으면서 코로나19발(發)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단 우려가 점차 제기되고 있다.

블룸버그와 화상 인터뷰를 하고 있는 카르멘 라인하트 세계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하버드대 교수 출신으로 ‘위기 전문가’인 카르멘 라인하트 세계은행(W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를 통해 금융위기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이번 위기는 금융위기로 시작되지는 않았지만 매우 심각한 금융 결과 등 큰 경제 위기로 변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 중앙은행들이 금융 시장 안정을 위해 국채 매입에 나서고 있는 것에 대해선 전쟁 상황인 만큼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지속 가능한 구조는 아니라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세계 최빈국들은 중국에 그들이 올해 상환해야 할 돈의 거의 60%에 달하는 금액을 빚지고 있다. 세계은행 총재는 지난 8월 “개발도상국에 투명하지 않은 조건과 국가가 감당할 수 없는 높은 금리로 많은 대출이 실행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하버드대에서 국제경제학을 가르치다가 올해 6월부터 세계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맡은 카르멘은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와 함께 2008년 금융위기를 분석한 책 ‘이번엔 다르다’로 유명하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국제통화기금(IMF)도 재정정책을 더 확장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면서도 글로벌 경제의 금융 취약성이 계속 커지고 있다고 진단한 상태다.

IMF는 지난주 발표한 반기 금융안정보고서(GFSR)에서 “코로나19 발발 이후 취약성은 계속 커지고 있다”며 “새로운 바이러스 발발, 정책 실수나 기타 충격과 같은 도화선들은 기존 취약성과 상호 작용해 경제를 더욱 불리한 시나리오로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IMF는 “이런 시나리오에서, 더 광범위한 부도는 신용 위험의 재조정, 은행 대출 기준의 강화, 재정 조건의 급격한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 일부 은행 시스템은 자본 부족을 경험할 수 있으며 민간과 공공 부문의 부채 증가는 향후 금융시장에 도전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IMF는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심화할 경우 세계 금융 시스템에 1300억 달러(약 149조원)의 자본 부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부족분의 대부분은 신흥시장 기업일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얼마나 빨리 통제될 수 있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것을 고려할 때 정책 입안자들은 광범위한 지원을 계속 제공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하며 대유행이 완전히 통제될 때에만 점진적으로 이를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IMF는 올해 전 세계 공공부채가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재정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 세계 공공부채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98.7%를 기록해 역대 최대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공공부채는 2016년 처음 80%대로 올라섰고 지난해 83%를 기록했다.

일본이 GDP 대비 공공 부채 비율이 266%로 가장 높았다. 미국 131%에 이어 유로존 101%, 중국 61%의 공공 부채 비율을 기록했다.

한국은 올해 공공부채 규모가 GDP 대비 48.4%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41.9%에서 7%포인트 가량 늘어난 수치다. 내년에 50%대, 2024년 60%대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도 금융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주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재정준칙의 필요성을 언급한 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과정에서 어느 정도 가계 부채 증가는 불가피하지만, 최근 증가세는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늘어나는 가계 대출 자금이 자산 시장으로 과도하게 유입되면 추가적인 금융 불균형 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볍게 넘길 수 없다”며 “가계부채 억제나 자산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6일 국회 국정감사 자리에선 “자산시장으로의 자금흐름과 가계부채 증가세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도 주의깊게 살펴보겠다”고도 밝혔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