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만행’ 발생 닷새·사건 공개 이틀째…文대통령 ‘육성‘은 없었다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북한’ 언급 없고
참모진 앞세워 해명…직접 메시지도 없어
“유엔 연설 직후 반대 메시지 부담될 것”
서욱 국방부 장관이 국군의 날을 앞두고 25일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에서 참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서해상에서 표류 중이던 우리 국민을 북한군이 총살하고 시신까지 훼손한 사건을 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침묵했다. 연이은 논란에도 청와대 참모진을 앞세웠던 문 대통령은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도 북한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국민들이 국가 안보에 심각한 불안을 느끼는 상황에서, 60만 우리 군장병을 앞에 두고 부적절한 메시지라는 지적도 인다.

문 대통령은 25일 오전 제72회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그 어떤 행위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응할 것임을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제72회 국군의 날을 맞아 조국의 안전과 평화를 만드는 강한 미래 국군으로 거듭날 것을 국민 앞에서 굳게 다짐한다”며 군의 대비태세 강화를 강조했지만, 정작 지난 22일 북한군이 서해에서 표류 중인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을 총살하고 시신에 불을 지른 피격 사건과 관련된 언급은 없었다.

올해 기념사에서는 북한과 한반도라는 표현이 단 한차례도 언급되지 않았다. “미국 현직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 땅을 밟을 수 있었던 것도 남북 군사합의를 이끌어내고 실천한 군의 결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한반도 평화를 언급했던 지난해 기념사와도 대조적인 모습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오전 북한에 의한 우리 국민 총살 사건을 처음 보고받은 이후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보고 직후 문 대통령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매우 유감스럽다.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다”며 “북한 당국은 책임 있는 답변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 이 발언 역시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대신 발표했다. 이후에도 서주석 국가안보실 1차장을 비롯해 청와대 참모진이 재차 브리핑과 설명에 나섰지만, 문 대통령이 직접 발언은 없었다. 사건 발생 5일째, 사건 공개 이틀째임에도 결국 문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육성’으로 북한 만행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지 않은 것이다.

이처럼 문 대통령이 직접 언급을 피하고 있는 것은 사건 당시 제75자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제안하는 등 처신이 부적절했다는 비난에 부담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전 녹화된 영상인 탓에 사건 이후 메시지 수정이 어려웠다는 청와대의 해명이 있었지만, 총살 보고 이후에도 ‘종전선언’을 언급한 문 대통령의 SNS 메시지와 NSC 회의를 주재하지 않고 이미 예정된 ‘한국형 뉴딜’ 행사에 참석했다는 비판이 거센 상황이다.

이에 더해 사건 직후 청와대 관계자들의 발언 중 ‘화장’과 ‘사고’라는 표현이 문제가 되면서 문 대통령의 고심은 더 깊어진 모양새다. 문 대통령이 직접 메시지를 냈다가 논란이 커질 경우, 향후 국정 운영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김규철 정치평론가는 “문 대통령이 유엔에서 종전선언을 제안한 날에 사건이 터지며 직접 반대 메시지를 내기에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메시지를 내지 않을 경우, 대처가 부족하다는 비판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강문규·유오상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