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속으로] 한국판 뉴딜로 시작되는 친환경 스마트 항만의 새로운 기회

수출입 무역과 물류를 담당하는 항만은 수많은 선박과 화물·여객이 드나드는 복잡한 장소다. 동시에 해운회사, 부두 운영사, 운송회사 등 다양한 기업이 활동하는 종합적인 산업 현장이다. 컨테이너 등 중량의 화물을 옮기고 싣기 위해 대형 크레인과 이송장비들이 24시간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 장치산업이 집적화된 산업단지이며, 화물·선박·차량 이동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생성되고 저장되는 정보의 허브이기도 하다.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화 등 기술의 진전으로 세계 유수의 항만들은 보다 앞선 위치에 서기 위해 무인 자동화와 디지털화·친환경화를 도입하고 있다.

선진 항만이라고 일컫는 유럽 로테르담항이 이러한 변화에 가장 앞서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자동화 기반의 항만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한 로테르담항은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 시스템을 무인자동화했다. 또 IBM의 인공지능(AI) 및 IoT 기술을 접목해 모든 정보가 한곳에 집중되도록 디지털 트윈화한 스마트 항만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가 ‘NGP(Next Generation Port) 2030’을 통해 새로이 개발되는 투아스(Tuas)항만을 대상으로 스마트 연구·개발(R&D)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13개 핵심 항만을 대상으로 스마트 항만 구축사업을 시범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상하이·칭다오·샤먼항 등은 완전자동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지난 7월 정부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비대면 경제구조로 체제를 전환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과 지원사업 등 2025년까지 약 100조원의 재정을 투입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이와 연계해 ‘해양수산 분야의 한국판 뉴딜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해양수산업에 특화된 디지털 및 녹색 전환, 비대면 방식의 해양산업 육성과 공공서비스 확대, 해양 신산업 육성과 성장 기반 마련, 선원 등 해양수산업에 종사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망 구축 등 핵심 전략이 마련됐다.

자율운항 선박기술 개발과 스마트 항만 테스트베드 구축,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조성, 항만 통합 블록체인 플랫폼 확산, 수출입 물류 디지털 플랫폼 구축, 항만 배후단지 유턴기업 입주 지원 등 항만물류 분야에서도 다양한 사업이 추진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해양부는 2021년 역대 최대 규모인 약 6.1조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해양 환경 및 친환경 선박 건조 지원 등 그린 뉴딜 관련 사업과 디지털 기반 해운항만 인프라 기술개발 등에 투입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글로벌 허브항만을 목표하는 부산항은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과 연계한 다양한 전략계획을 수립 중이다.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시스템과 자동 하역기술,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기술, 항만시설 관리 및 안전을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을 추진 중이다. 그린 뉴딜 부문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육상 전원공급장치 설치, LNG 벙커링 및 수소경제 기반 에너지 자립화 방안 등을 구상하고 있다.

이 밖에도 국산화율이 저조한 항만 내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우리 기업과의 공동 기술개발사업도 진행 중이다.

1920년대 미국의 뉴딜 정책은 세계1차대전 이후 발생한 경제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긴급은행법 폐지와 산업부흥법 제정 등 금융과 산업 분야의 혁신과 테네시강 유역 개발 등 대규모 토목 인프라를 확대하는 등 국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과 산업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극복한 사례다.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 의지와 노력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부산항을 중심으로 항만 부문 뉴딜을 성공적으로 진행한다면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스마트 친환경 항만으로 우뚝 서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