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경제 3분기 반등하겠지만 더블딥 가능성”
국제금융센터 보고서
고용불안·코로나 확산 등
재고·소비·서비스업 회복 불확실

최근 글로벌 경기 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코로나19 리스크가 진정되지 않고 있어 3분기 세계 경제 성장률이 플러스로 돌아서더라도 연말 연초 더블딥(Double Dip·W자형 이중침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국제금융센터(김위대 전문위원)는 ‘글로벌 경제의 더블딥 가능성 점검’이란 제목을 보고서를 통해 “대규모 완화정책의 경기부양 효과에도 불구, 투자를 유발할 만큼 재고조정이 이뤄지지 않은 데다 고용회복 지연 및 동절기 2차 확산 우려, 부채 과중 등을 감안하면 회복 지속보다는 연말연초 더블딥 발현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 위원은 “코로나19발(發) 경기침체기 초입부터 강도 높은 선제적 금리인하 정책과 전례 없는 대규모의 재정지원 등은 경기의 하방리스크를 억제하는 데 기여했다”며 “역사적인 저금리와 재정확대 실행, 유가하락, 주가상승 효과 등도 소비수요 진작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어 “정책 효과 등은 기본적으로 금융시장을 견인하는 데에는 기여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 공포로 인한 경제활동 회피 신드롬을 완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3분기 중 경제봉쇄 완화 및 기저효과 등으로 성장률이 반등하겠지만, 1차 침체 기간의 충격 후유증이 단기 내 해소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고실업 및 과다부채, 소비자들의 방역우선심리 강화 등으로 수요가 유지되지 못하면서 연말 전후 경기침체에 재진입할 소지가 증가하고 있다”며 “더블집 현상이 심화할 경우 다수 국가들에서 수요의 하방리스크가 확대되는 반면 공급능력도 투자부진으로 축속돼 성장 잠재력이 약화하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현재 G20(주요 20개국)의 국가별 엄격성 지수(Stringency index) 평균은 16일 현재 61.9로 4월 고점(77.5)보단 하락했지만, 여전히 각국 정부의 코로나19 위험 인식과 대응이 상당한 수준이다.

엄격성 지수란, 각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정책이 얼마나 보수적인지를 조사한 지표로 영국 옥스포드 대학이 개발했다. 봉쇄·이동제한, 경제적 지원, 보건의료 강화 정책과 관련되 17개 지표를 조합해 1에서 100 사이의 수치로 산출한다. 경제 봉쇄가 강화될 경우 이 지수는 올라가고, 반대의 경우 떨어진다.

재고를 보면 선진국의 경우 2분기 이후 다소 축소됐으나 성장률 감소폭과 과거 경기침체기 재고조정 폭 등을 비교시 성장률 대비 소진규모가 미진한 상태다. 이에 추가 조정과 이에 따른 생산 감소가 발생할 여지가 있단 분석이다.

미국과 일본의 7월 제조업 재고 감소율은 각각 -1.0%, -4.8%에 그쳐 2000년 IT버블과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최저치에는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또 글로벌 가치사슬상 부분품 생산시설이 밀집된 중국, 베트남 등의 재고는 확대 추세를 지속하고 있어 선진국 재고 소진이 크지 않다면 경로상 부분품과 완제품의 재고가 누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민간소비도 이동제한 완화 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감염건수 누증으로 다시 위축되고, 기업도 불확실성에 따라 생산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 미국과 독일의 가계 저축률은 8월 현재 각각 17.8%, 21.1%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저축률이 높단 얘기는 그만큼 소비를 유보하고 있는 상태임을 보여준다.

또 서비스업 내 비중이 큰 레스토랑, 호텔과 대도시 오피스 등에서 유휴시설이 증가하고 있어 이는 제조업체 발주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세계 6만개 레스토랑의 예약율은 7월 들어 전년동기대비 58% 가량 감소했고 8월에도 45% 줄어드는 등 악화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서경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