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호산업·HDC현산 ‘책임 떠넘기기’ 공방…아시아나항공 인수 ‘난기류’
양측 보도자료 통해 공개 비방전
2500억원 규모 계약금 두고 신경전
금호산업 “진정성 있다면 협의할 것”
현산 “거래종결 위해 재실사 응해야”
서울 강서구 오쇠동 아시아나항공 본사에서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 정찬수 기자] 아시아나항공 매각 작업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인수 주체인 HDC현대산업개발과 매각 주체인 금호산업의 ‘네 탓 공방’이 점입가경이다.

다만 금호산업은 현산이 거래 종결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다면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경영을 위한 점검 관련 협의에 응할 용의가 있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겼다.

30일 현산은 보도자료를 통해 “재실사는 아시아나항공 정상화를 위한 대책 수립에 반드시 필요하다”며 “거래종결을 위해 계약 당사자들에게 하루속히 재실사에 응할 것을 재차 요청했다”고 밝혔다.

현산은 앞서 지난 24일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에 다음 달 중순부터 12주 동안 아시아나항공과 자회사들에 대한 재실사를 하자고 제안했다.

현산은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이 이미 선행조건 미충족 등 인수계약을 위반했으므로 (현산이) 계약을 해제하고 계약금 반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성공적인 거래 종결을 위해 재실사를 진정으로 바라고 있다”며 “재실사는 현산이 인수하는 경우 혹은 국유화의 경우에도 아시아나항공의 정상화를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필수적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뢰할 수 없는 재무제표에 근거한 막연한 낙관적 전망만으로는 결코 아시아나항공을 정상화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금호산업은 또 현산이 거래 종결을 회피하면서 그 책임을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에 전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현산이 재실사를 요구하며 배포한 보도자료가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금호산업은 “현산이 마치 충분한 확인이 이뤄지지 않은 것처럼 사실을 왜곡하고, 거래 종결을 회피하면서 책임을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에 전가하고 있다”며 “진정성 있는 자세로 거래 종결을 위한 절차에 협조해달라”고 촉구했다. 재실사 요구에 대해서는 “이미 영업·재무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금호산업은 지난해 12월 27일 아시아나항공 주식매매계약 체결 이후 현산이 대규모 인수준비위원회를 구성해 아시아나항공 본사에 상주했으며, 모든 자료를 수 개월간 검증했다고 설명했다.

현산이 문제 삼은 선행조건 충족과 재점검 사항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금호산업은 “재무제표 대비 실적 악화나 채권은행의 1조7000억원 추가 차입, 영구 전환사채(CB) 등의 이슈 모두 이미 현산 최고경영진에게 보고한 것”이라며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투자손실 문제 등도 이미 정보 제공이 됐고, 계약서상 공개 목록에 포함돼 문제 삼지 않겠다고 이미 합의된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나란히 보도자료를 내고 인수 절차에 대한 시각차를 드러낸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책임 떠넘기기’에 나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 금호산업은 이례적으로 현산 인수준비단의 활동 내역과 아시아나항공의 경영현황 보고 내역, 현산의 인수 상황 재점검 요청 항목 등을 세세히 공개했다.

HDC 현대산업개발 모습. [연합]

현산은 2500억원에 달하는 계약금 반환을 위한 명분 쌓기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현산은 “일부의 억측과 달리 재실사 요청은 계약금을 반환받기 위한 구실이 아니다”라며 “진정성 있는 현산의 재실사 제안이 계약금 반환을 위한 명분 쌓기로 매도됐다”고 밝혔다.

다만 신경전 사이에서 금호산업은 재실사 수용 가능성에 대한 여지를 남겼다. 현산의 제안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경영을 위한 대응 방안이라면 점검에 협조할 여지가 있다며 한발 물러선 것이다.

이에 대해 현산은 “채권단이 재실사를 참관하거나 공동으로 진행한다면 절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며 산업은행 등의 개입을 간접적으로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현산·미래에셋 컨소시엄은 지난해 12월 27일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지분(30.77%)을 3228억원에 매입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2조1771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결정했다. ‘빅딜’과 ‘노딜’ 사이에서 양측의 공방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