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반쪽 흥행’으로 끝난 ‘대한민국 동행세일’

정부 주도로 열린 ‘대한민국 동행세일’이 17일 만에 막을 내렸다. 정부는 앞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소비 위축을 극복하기 위해 동행세일을 ‘제2의 코리아세일페스타’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소상공인부터 중소기업, 대형 유통업체까지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내수 진작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뚜껑을 열고 보니 유통 업체들의 희비가 확연히 엇갈렸다. 백화점은 명품 수요에 힘입어 매출이 급증했지만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매출이 지난해보다 소폭 개선되는 데 그쳤다.

이번 행사는 “명품이 살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소비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백화점 업계가 동행세일 기간에 맞춰 면세점의 재고품을 방출하는 ‘명품 대전’을 열면서 구매 열기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백화점 3사의 명품 매출(6월 26일~7월 9일)은 전년 대비 최대 50% 증가해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

신세계백화점의 동행세일 기간 매출은 작년과 비교해 11.3% 증가했다. 현대백화점과 롯데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6.3%, 4% 늘었다. 롯데쇼핑의 교외형 아울렛 6곳의 매출도 24% 뛰었다.

모처럼 찾아온 소비 회복 분위기에도 대형마트는 웃지 못했다. 소비 진작을 위해 중소 협력 업체의 수수료를 인하하는 등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마련했지만 의무휴업일이 두 번 겹치면서 큰 특수를 누리지 못했다. 롯데마트의 동행세일 기간 매출(6월 26일~7월 9일)은 전년 대비 4.7% 감소했다. 이마트, 홈플러스도 매출도 비슷한 수준으로 기대했던 효과를 누리지 못했다. 동행세일 이전이나 이후나 여전히 어려웠다.

정부는 “이번만큼은 소비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예외는 없었다. 대형마트는 동행세일 시작 첫 주말인 6월 28일과 마지막 주말인 7월 12일에 의무휴업일로 문을 닫았다. 전체 매출의 40%를 주말에 벌어들이는 대형마트 입장에서는 ‘동행세일 특수를 포기하라’는 말과 마찬가지였다. 한쪽에서는 소비를 활성화하고, 한쪽에서는 소비를 옥죄는 정책으로 현실과의 괴리감만 커졌다. 앞서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됐던 대형마트는 이번에도 찬밥 신세였다.

그렇다고 전통시장이 반사이익을 누린 것도 아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주(6월 29일~7월 6일) 전통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22.9% 줄었다. 전주보다는 감소 폭이 5.6%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작년 매출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대결 구도를 전제로 하는 영업규제로는 더 이상 어느 하나도 살릴 수 없게 됐다. 이미 유통 시장의 주도권은 온라인으로 넘어간 지 오래다.

정부가 주도하는 행사에서만큼은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해야 하지 않을까.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일시적으로 의무휴업일을 없애고 영업시간 제한 규정을 완화할 것을 ‘권고’한다면, 지자체도 검토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지자체도 합당한 명분이 있어야 의무휴업일을 한시적으로 폐지하는 선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