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고용창출 이상의 가치 광주형 일자리 사업, 꼭 성공해야

정부가 15일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제1호 상생형지역일자리로 선정하고 각종 지원을 시작한다. 이로써 광주는 문재인 정부 핵심 일자리 정책의 명실상부한 시험지역으로 자리잡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대선 후보 시절 공약으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발표한 이후 3년3개월 만이다.

상생형지역일자리는 기업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으로 근로자를 고용하는 대신 지자체가 주거·보육 등의 복리후생으로 임금 부족분을 보완하고 정부는 연구·개발(R&D)이나 보조금 등을 지원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양질의 지역 일자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모델이다.

그 시금석이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광주 광산구 빛그린 산업단지 내에 짓는 자동차 공장(광주글로벌모터스:GGM)이다. 지난해 12월 착공에 들어가 현재 24%가량의 공정률을 보이는 이 공장엔 2021년까지 3년간 5754억원이 투입되고 정부도 지방투자촉진보조금(최대 150억원), 투자세액 공제 우대 등 각종 지원을 하게 된다. 공장이 완공되면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에 들어가 2022년부터 는 연간 7만대의 경형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을 생산할 계획이다. GGM이 직접 채용하는 인원은 900여명이지만 협력업체의 채용까지 고려한 간접고용 효과는 1만2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재난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일자리는 단 한 개라도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의 가치는 고용창출 그 이상이다. 고임금 구조로 인한 낮은 생산성은 한국경제의 치명적 약점이다. 그걸 지자체와 정부의 지원으로 보완해 극복하는 새로운 모델이 광주형 일자리이다. 노사상생을 전제로 한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시험인 셈이다. 광주상의를 중심으로 지역 경제인들이 그토록 적극 지원한 것도 그런 이유다.

특히 광주형 일자리는 경남 밀양, 대구, 경북 구미, 강원 횡성, 전북 군산, 부산 등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상생형 지역일자리의 활성화에 바로미터가 된다. 광주에서 성공해야 다른 지역의 사례들도 힘을 받는다는 얘기다.

광주형 일자리에는 지금까지 좌초와 다름없는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불과 두 달 전만 해도 한국노총의 노사민정협의회 탈퇴로 GGM이 불투명했다. 절름발이 모델이 될 판이었지만 광주상생일자리재단이라는 극적인 해법을 찾았고 오늘날 국가사업으로 공식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그게 끝은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 시작이다. GGM이 실질적인 경쟁력을 지닌 자동차 공장으로 자리잡아야 하기 때문이다. 품질과 생산성 면에서 확실한 우위를 지닌 공장으로 발전하길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