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보다 무서운 ‘저금리’…“구조적 불황 경계해야”
금융연 송민규 박사 발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 장기화되면서 시민들의 체감 경기가 급격히 얼어붙은 가운데 지난달 24일 오전 서울 종각역 인근 건물에 임대 문구가 붙어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세가 잡히더라도 저금리 기조가 국내외 경제를 불황의 높에 빠지게 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달 31일 금융연구원이 내부 행사로 진행한 ‘코로나 경제위기와 제로금리 시대’ 세미나 자료를 3일 공개했다.

송민규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실장은 ‘저금리 시대, 금융시장의 리스크와 대응’ 발표자료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진정되더라도 국내외 저금리 기조는 장기화할 수 있다”면서 “투자수요 촉진, 경기회복보다는 그 자체로 경제활동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면 이자 부담이 줄어 기업의 투자여력이 커진다고 해석한다. 하지만 저금리가 기본으로 굳어지면 상황은 반대로 흐를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가 전반적으로 확장하는 대신 축소하면서 기업 투자에 따른 기대수익도 덩달아 떨어진다. 유동성이 경기에 활력을 불언허는 선순환 구조가 깨지는 것이다.

송 실장은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오르지 않았던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사례를 들었다. 통화당국은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더 내리게 되면 악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송 실장은 “이는 결국 구조적인 불황으로 번질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저금리 기조에서 가계의 부동산 대출만 불어나는 것도 리스크다. 동시에 기업의 구조조정이 뒤로 밀리면서, 이른바 ‘좀비기업’들이 양산될 수 있다. 개인의 자산축적도 점점 어려워지고 은행들의 수익성도 나빠지는 것도 걱정되는 대목이다.

송 실장은 “구조적 불황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실물경제의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며 “가계부채를 관리하고 위험자산으로의 쏠림 현상을 막고, 은행의 자금중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