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증안·채안펀드 운용 어떻게…ETF·회사채 편입될까

개별종목 위험 회피하고
중소기업 부도 방지해야
BIS완화로 출자위험 낮춰
손실 발생 책임소재 변수

[헤럴드경제=이승환·박준규·박자연 기자] 5대 금융그룹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원을 위한 증시안정펀드·채권안정펀드의 운용방안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보통 은행들이 투자하지 않는 주식과 일반 회사채를 담을 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이다.

총 10조원의 증시안정펀드·채권안정펀드 자금을 출연할 5대 금융그룹은 작년 말 연결기준으로 당장 유동화가 가능한 현금성 자산을 약 90조원 보유하고 있다. 신한금융이 28조4000억원으로 가장 많은 실탄을 갖고 있다. 이어 하나금융(23조7000억원), KB금융(20조8000억원), 농협금융(10조9000억원), 우리금융(6조2000억원) 순이다. 일단 자금동원은 대부분 은행이 맡을 전망이다. 은행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직접 돈을 빌릴 수 있다. 보유한 유가증권을 한은에 맡기고 현금을 받는 방식이다. 문제는 건전성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주식의 경우 국제결제은행(BIS)비율 산정 시 위험자산 가중치가 큰 만큼 건전성을 고려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건전성 부담이 덜한 채권 재원은 BIS비율 규제에 민감한 은행 자금이 쓰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증시안정펀드가 개별 종목에 투자된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장지수펀드(ETF)나 인덱스 펀드 같은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상품을 활용할 것이 유력하다. 일본은 중앙은행이 직접 ETF를 매수한다. 일본은행은 최근 올해 증시 ETF 투입예정액을 6조엔에어 12조엔으로 높였다. 국내에서는 한국은행이 직접 주식을 매입할 수는 없지만, 은행이 국고채 등 안전자산을 안전자산에 담보로 맡기는 방식으로 간접 투자하는 방법은 충분히 가능하다.

일본은행은 회사채까지 직접 매입할 수 있지만, 한국은행은 현행법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역시 은행들이 안전자산을 맡기고 이를 회사채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자금투입이 가능하다.

금융위는 BIS 산정시 위험자산 기준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10조원을 낼 금융지주에 화답할 예정이다. 다만 당국이 ETF 등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주식과 일반 회사채에 대해 어떤 기준 적용할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은행들은 당장 BIS 비율에서 규제완화가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증시 추가하락과 회사채 부도 등으로 실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