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귀농귀촌 준비 평균 25.1개월…10곳 중 4곳 ‘교육 미이수’
귀농 1년 차 평균 가구소득 2828만원, 5년 차 3895만원
농식품부 귀농귀촌 실태조사…교육지원 강화·컨설팅사업 신설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기간이 25개월을 넘지만 귀농가구 10곳 중 4곳은 교육을 받지 않은 채 농촌으로 향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167개 귀농귀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귀농 준비에는 평균 25.1개월이 소요됐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준비 기간이 짧았다. 귀농귀촌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은 귀농가구의 경우 59.9%였고, 귀촌가구는 21.1%에 그쳤다.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 귀농가구의 27.3%, 귀촌가구의 41.7%가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생활 경험이 있는 경우라고 설명했다. 반면 귀촌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2828만원이었으며, 귀농 후 5년 차에는 3895만원으로 증가해 귀농 전 소득인 4400만원의 88.5% 수준까지 회복했다.

귀촌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3279만원이었으며, 귀촌 후 4년 차에는 4058만원으로 증가해 귀촌 전 소득인 4038만원을 넘어섰다. 거주 주택 종류는 단독주택, 아파트·연립주택 순이었고, 점유 형태는 자가, 전·월세 등 순이었다.

지역 융화에 대한 질문에는 귀농가구의 74.7%, 귀촌가구의 56.1%가 "좋다"고 응답했다.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는 비율은 귀농가구 1.4%, 귀촌가구 1.5%로, 이들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의 충돌, 마을 공동시설 이용 문제 등을 불화의 이유로 들었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로는 문화·체육 서비스라는 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 서비스, 교통 서비스 등이 있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귀농귀촌 맞춤형 정책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우선 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지역의 귀농귀촌 교육을 중점 개선한다.

청년 1600명을 선발해 영농정착지원금과 창업자금, 영농기술 교육 등을 종합 지원하고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 컨설팅 사업도 신설한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