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우리銀 DLF 성실배상, 고객신뢰 쌓는 출발점돼야

우리은행이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 배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것은 금융당국의 분쟁조정안 적극 수용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할 만하다. 금융당국의 결정에 어쩔 수없이 따라가는 게 아니라 스스로의 혁신으로 고객의 신뢰를 쌓겠다는 의지의 출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방침이 공표된 것은 23일 전국 영업본부장 회의였다. 연말 마무리 영업과 함께 내년도 경영 방향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이다. 우리은행의 내년도 경영목표는 ‘신뢰’ ‘혁신’ ‘효율’이다. 은행의 모든 제도와 시스템을 고객 입장에서 재점검하고 혁신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날 우리은행은 소비자보호를 위한 ‘자산관리 영업 윤리강령’을 선포하고 영업현장 직원들이 ‘실천다짐 서약서’를 손태승 행장에게 직접 전달하는 행사까지 가졌다.

고객 신뢰 회복의 첫 걸음은 말할 것도 없이 피해고객에 대한 성실하고 신속한 배상이다. 손 행장은 특히 “고객 한 명 한 명의 입장을 적극 반영하고, 고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는 등 최선을 다해 배상에 임해줄 것”을 강력히 주문했다. 당연하고도 올바른 방향이다.

일부 영업본부장은 임원급의 급여를 일부 반납하여 소비자보호기금을 만들고 배상 이후에도 남는 피해보상에 활용하자는 제안을 했다고도 전해진다. 과한 일이다. 과하면 아니함만 못하다. 성실히 배상에 임하겠다는 의지는 높이살만하지만 임금으로 손해를 보전해주는 전례를 만들어서는 안된다. 게다가 DLF의 불완전 판매는 시스템의 잘못이다. 일부의 일탈적 영업이 아니었다. 당연히 책임도 회사가 질 일이다. 직원들은 정책에 맞춰 앞으로 잘하면 될 일이다.

DLF 사태를 계기로 소비자보호는 은행권의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됐다. 이젠 은행 스스로가 소비자를 먼저 생각해야만 한다. 그래야 신뢰가 생긴다. 문제는 지속성이다. 소비자중심 경영은 문화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일과성 행사로 끝나지 않는다. 안그래도 은행의 역사는 금융사고의 순환사다. 대형 금융사고로 은행순위가 바뀌는 게 다반사였다. 지금 그런 청탁성 부정대출은 사라졌지만 아직도 흔적은 남아있다.

우리, KEB하나은행은 DLF의 배상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다. 반면 10년전 키코 사태 분쟁에서 배상 규모가 가장 큰 신한은행은 물어줄 게 없다. DLF 상품을 아예 팔지않았기 때문이다. 파생상품의 위험에대한 백신을 맞았던 셈이다.

DLF 배상이 소비자보호와 고객중심 경영의 출발점이자 문화로 정착하길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