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脫일본’ 소부장 협력사업 4건 첫 승인…2024년까지 1800억원 투자
반도체·자동차·전자기기 대상…국내 수요 20∼60% 확보 목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해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단행한 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의 자립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나오자 사실상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써 7월 4일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감광액)에 대한 대(對)한국 수출규제를 단행했다. 또 우리나라를 일본의 수출우대국가명단인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 수출무역관리령을 지난 8월 28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경기 안산시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 4개 협력사업을 최초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협력사업은 반도체, 자동차, 전자·기기 등 소재·부품·장비 핵심 전략 품목에 관한 것으로,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모두 참여해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협력하게 된다. 이들 품목은 해외에 전략 또는 90% 이상을 의존하고 있어 국내 기술력 확보가 시급하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5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통해 ▷협동 연구개발형 ▷공급망 연계형 ▷공동 투자형 ▷공동 재고 확보형 등 기업 간 협력모델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관계부처 협의, 소재·부품 전문위원회를 거쳐 국내 공급망 안정의 시급성과 수출규제 대응의 중요성 등을 고려해 시범사업을 결정했다.

한 협력사업의 예를 보면 A연구소가 공급기업 B사에 소재 원천기술을 제공하고 B사가 주도해 분말소재를 개발해 수요기업이자 공급기업인 C사에 공급하면 C사는 이를 가지고 중간체를 제조해 최종 수요기업인 D사에 납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C사와 D사는 성능평가와 실증을 지원하고 기술 개발 관련 피드백을 공급기업에 준다. 4개 협력사업은 2024년까지 국내 수요의 20∼60%를 확보해 연간 3600억원 이상 매출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19∼2024년까지 1800억원을 투자하고 330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경쟁력위원회가 승인한 4개 협력사업에 대해서 범정부 차원에서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이미 4개 협력사업 참여 기업들이 요청한 연구개발(R&D), 정책금융, 인력파견, 규제완화 등 정책 건의에 대해 관계 부처와 전문위원회 검토를 거쳤고 필요한 부분을 최대한 돕기로 했다. 이번이 첫 시범사업인 만큼 향후 추진 과정에서 부족한 점이 나타나면 계속해서 개선·보완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업의 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철저히 점검해 나가는 동시에 협력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추진 단계별로 수요기업의 참여 수준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 및 양산 단계에서도 수요 기업이 성능 실험, 양산 평가 등 개발 품목의 품질 확보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협력사업별 전담자를 지정해 사업의 원활한 진행과 애로사항 해소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