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한달만에 끝난 반짝 온기, 경제 위기감 가지라는 경고

딱 한달이다. 두달도 이어가지 못했다. 5개월만에 생산·소비·투자 등 경제 활동 3대 지표가 모두 상승하며 희망을 줬던 산업활동동향(8월)이 다시 한숨 속 위기감으로 빠져드는데는 한달이면 충분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 동향’에서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계열)는 108.0으로, 전월보다 0.4%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은 증가했지만, 도소매와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서비스업 생산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소매판매는 음식료품과 의복 판매가 감소하면서 전월보다 2.2%줄어들었다. 감소폭은 2017년 12월(-2.4%) 이후 가장 컸다.

이제는 익숙해져 그러려니 하지만 통계청의 설명은 여지없이 기저효과와 날씨 때문이란 설명으로 일관한다. 올해 추석이 이른 9월이어서 소비가 전달인 8월으로 분산됐고 9월엔 잦은 태풍과 장마 등으로 야외활동이 줄어들면서 숙박·음식업과 운수·창고업, 예술·스포츠·여가업 등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그 와중에 9월이 예년비해 기상이 고온이어서 환절기 의류 소비도 감소했다는 설명도 한다. 통신에서도 8월엔 핸드폰 신제품 출시가 많았고 10월에 주요 기종 출시 예정된 대기 수요로 9월 소비는 감소했다고 봤다.

심지어 유일하게 증가한 설비투자도 마찬가지다. 이번엔 역기저효과다. 2~3년전 반도체장비투자가 워낙 많이 이뤄졌는데 지금은 그 기저효과가 사라져서 소폭이지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통계청이 경제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곳은 아니다. 통계를 기초로 정책대안을 제시하라는 것도 아니다. 그건 해당 부처의 몫이다. 물론 통계청은 지난 8월 경제 지표에도 호들갑을 떨며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수출이나 대외 여건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확실한 상승세로 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달 나오는 경제활동 지표 대부분을 기저효과와 날씨라는 만능잣대로 설명해서는 곤란하다. 이같은 천수답식 분석은 지표가 주는 신호의 방향성을 희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위기의 징후조차 ‘그러려니’ 여기게 만든다는 얘기다.

불과 몇달도 지속시키지 못하고 생산과 소비, 투자가 등락을 거듭한다는 것 자체가 위기 징후다. 한국경제의 위험성을 예시하는 기관들은 많다. 심지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의 낮은 물가상승률의 원인으로 소비와 투자의 위축을 들며 농산물 공급과잉과 무상복지 확대 등 공급요인에 따른 일시적 요인이라는 정부의 주장에 반대되는 의견까지 내놓는 상황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