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바이오빅데이터 구축’ 외국기업 좋은일만?
국민 유전체·건강상태 정보 수집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 보관
환자 맞춤형 신약 연구에 활용
국내 기업 장비·시약 거의 외국산
이익의 80% 외국기업으로
한 유전체기업에서 개인의 시료를 채취해 유전체 분석 작업을 하고 있다.

내년부터 국가예산이 대거 투입되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이 자칫 외국기업들의 배만 불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먼저 국민들의 유전체정보를 수집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정부는 최대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을 위해 희망자를 대상으로 유전체 정보, 의료이용·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정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에 보관한단 계획이다. 이를 환자 맞춤형 신약·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하게 된다.

문제는 국내 유전체분석 기업들이 사용하는 장비와 시약이 외국산 일색이라는 점이다. 국내 생산 제품이 거의 없는 탓에 장비구입 협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복지부는 내년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150억원을 투입, 신규사업을 시작한다. 2029년까지 100만명 규모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 혁신 신약·의료기기 개발을 촉진하는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그런데 국내 유전체기업인 테라젠이텍스, 마크로젠, 디엔에이링크, 랩지노믹스 등 대부분이 유전체분석작업 때 미국 회사인 일루미나, 서모피셔 등의 제품을 사용한다.

이들 외국사는 개별 기업별로 차등 단가협상을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 통해 규모가 작은 기업에는 더욱 가혹한 가격정책을 펼친다는 것이다.

외국사의 주머니로 들어가는 돈은 국내기업들이 얻는 이익의 대략 80%. 1000원을 벌면 해외 장비, 시약 기업에 800원을 줘야 한다는 이야기다.

업계 관계자는 23일 “빅데이터 구축사업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수혜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구조적으로 외국기업만 배불리는 게 아니냐는 의견들이 분분하다”며 “자칫하다간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왕서방만 챙겨가는 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은 표적항암제 등 개인 맞춤형 치료기술 중심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런 방식의 의료기술 혁신 기반이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인 것이다. 이 사업은 국내산업 활성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 취지에 맞게 정부과제 만큼은 외국사들이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외국사들은 국내 진단의료기기 관련 협회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며 국내 산업에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심지어 한국계 외국인 전문가를 활용해 정부 측과 관계 강화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전체분석기업협의회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들이 내년 시작될 국책사업 수주를 위해 먼저 뛰고 있는 상황이다. 남의 장비와 시약을 사용해야 하는 국내 기업들은 수동적일 수밖에 없다”며 “사업 시행 전 정밀한 현황 분석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는 내년부터 1단계로 2만명 규모로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을 시작한다. 오는 2029년까지는 100만명 규모의 빅데이터 구축을 완료한다는 게 목표다. 조문술 기자/freiheit@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