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출자 3명 중 1명, 2년간 소득 한 푼 안 써도 빚 다 못 갚아
대출자 3명 중 1명은 2년간 한 푼도 안 쓰고 소득을 모두 모은다 해도 빚을 모두 갚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청과 한은 등이 국감에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김두관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금융부채 비율이 높은 가구와 취약차주에 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

[헤럴드경제=이운자] 대출자 3명 중 1명은 2년간 한 푼도 안 쓰고 소득을 다 모은다 해도 빚을 모두 갚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 액수가 한 해 처분가능소득의 2배를 넘어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두관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200% 이상인 사람의 비율은 33.1%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이란 개인 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 이자 비용 등 비소비성 지출을 뺀 소득을 말한다. 즉 소비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문제는 처분가능소득의 200%가 넘는 대출자의 비중이 매년 늘어난다는 것이다. 2014년 28.0%였다가 2015년(30.1%) 처음으로 30%를 넘어섰고, 2016년 31.4%, 2017년 31.7%, 2018년 33.1%로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300%를 초과하는 이들의 비중도 2014년 17.6%에서 지난해 21.1%까지 늘어, 대출자 다섯 명 중 한 명꼴에 해당한다.

반면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50% 이하인 대출자, 다시 말해 한 해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을 모으면 빚을 다 갚을 수 있는 이의 비중은 2014년 전체 대출자의 35.2%였다가 지난해 30.1%까지 떨어졌다.

한편 전체 가계대출 금액은 2014년 1085조원에서 올해 2분기 기준 1556조원으로 43.4% 증가했다.

김두관 의원은 “과거 정부의 ‘빚내서 집 사라’는 부동산 정책으로 가계 부채가 급증해 고액 대출자가 늘어났다”며 “지난해부터 부동산 대출 규제로 가계 부채 증가는 둔화하고 있지만, 기존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등으로 소비 위축을 불러올 수 있는 만큼 취약차주와 금융부채 비율이 높은 가구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yi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