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제광장-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방제 선진국 도약…제2의 ‘태안 기름사고’ 막는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약 270건의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유류 약 536kl가 유출됐다. 지난 1995년 여천 소리도 근처에서 발생한 ‘씨프린스’ 유조선 기름유출 사고, 2007년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2014년 여수에서 발생한 ‘우이산호’ 기름유출 사고는 이 지역의 해양생태계와 수산업에 적지 않은 피해를 초래했다.

특히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은 풍랑주의보 상황에서 발생한 대형 해양오염사고로 1만2547kl의 원유가 유출돼 태안지역을 포함한 서해안 일대에 막대한 경제적, 환경적 피해를 입혔다. 당시 국가가 보유한 방제선은 대부분 500톤 미만의 중소형 방제선으로 기상악화 상황에서 현장접근이 불가능했다. 초동 방제작업에 한계가 있었고, 이로 인해 피해가 확산된 점도 안타까웠다.

이런 대형 사고에 대비해 유럽은 유럽해사안전청을 중심으로 방제선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대형방제선만 총 64척으로 사고 시 방제작업에 투입되고 평상시에는 준설, 해양조사 등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도 4000톤급 준설 겸용 대형방제선 3척을 각 해역에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해양환경공단과 해경이 보유하고 있는 방제선은 대부분 중소형 규모다. 공단에서는 500톤 미만의 방제선 60여척을 보유하고 오염사고 시 신속한 방제대응으로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기상악화로 유의파고가 3m 이상일 경우 사고현장 접근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선진국에 비해 늦었지만 우리나라도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를 계기로 대형방제선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기상악화 및 대형 해양오염 사고에도 효율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모아진 것이다.

다행히 국회의 적극적인 요구가 이어져 지난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정부사업으로 시행이 확정됐다. 현재 해양수산부로부터 해양환경공단이 사업을 위탁 받아 5000톤급 대형방제선 건조를 추진 중이다.

2018년 8월부터 대형방제선 설계용역에 착수해 지난 7월 설계를 완료했다. 총 톤수 5000톤(길이 102m, 폭 20.6m)급으로 건조비는 약 737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달부터 건조를 시작해 2022년에는 현장에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최초 다목적 대형방제선의 건조를 위해 유럽의 선박을 사전실사하고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는 등 철저한 준비를 했다.

건조할 대형방제선은 평상시에는 준설 작업, 해양부유물 수거, 타선소화, 비상예인 등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방제작업 투입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제설비도 갖출 예정이다.

특히 파고 4m, 풍속 약 10.7 m/s 내외의 악천후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해 초동 방제작업이 가능하도록 건조할 계획이다. 선체 외부에는 강철 재질이가 약 15m에 달하는 스위핑 암 장비를 이용해 바다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한다. 내부선 유회수기를 통해 회수할 수 있도록 했다.

해양오염사고는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하지만 만약 대형 오염사고가 발생한다면 대형방제선을 적기에 투입해 해양생태계 훼손 및 어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우리 바다를 깨끗하게 지켜야 한다.

이번 대형방제선 건조를 계기로 해양오염사고 대응역량을 강화, 우리나라도 효과적인 방제대응체계를 갖추게 됐다. 우리나라에 최적화된 대형방제선을 건조해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역별 추가 배치는 물론 외국에도 우리의 첨단 방제역량을 수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