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미술품의 객관적 가격산정, 시도 자체로 의미 충분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자체적인 미술품 가격 결정 모형을 공개했다. 모호하기 그지없는 작품값을 산출하는 방식과 내용이 일반에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그 시도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30일 오후 열린 모형및 매뉴얼 공개 기자 간담회 자리에 문화체육관광부의 실무 관료와 예술경영지원센터, 아트뱅크 관계자들까지 대거 참여한 것도 그런 이유다.

이번에 발표된 미술품 가격산정 모형은 먼저 작가의 학업·전시 활동·인지도 항목을 각 1∼3점으로 매긴 뒤 작업 경력을 반영해 해당 작가의 통상가격을 산출한 후 이를 근거로 특정 작품의 보존 상태·크기별 가격·작품성·시장성을 따져 최종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이다. 작품성 및 시장성은 전문 감정위원들이 작업 재료, 작품 주제, 제작 시기, 경매 성적 등을 반영해 평가한다.

물론 희귀성과 독창성이 생명인 예술작품의 가격을 계량화 모형으로 결정하는데 부작용이 지적되지 않을리 없다. 작업 경력, 언론 보도 같은 ‘정량적’ 항목마저도 실은 정성적 성격을 띠는 것도 사실이다. 어느 매체에 어떻게 보도되고 어떤 곳에서 공부했는지를 기간과 횟수만으로 단순 비교하는건 무리다. 무엇보다 “시장에서 스스로 형성되어야 할 작품가격을 기계적으로 결정한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작가의 작품 가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시장에 알려 이중가격 형성을 막아보자는 시도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미술품 거래 규모는 매년 급증하고 심지어 미술품 담보대출까지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다 정부 기관 및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회사, 법원 등으로부터 작품의 시가 감정 요구 수요도 점점 많아진다. 미술품 가격 책정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 기준의 필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매입 주체들의 개별 노하우에만 의존할 수는 없는 일이다.

게다가 객관화된 가격은 시중에서 검증받을 기회를 준다는 부수 효과도 생긴다. 실제로 수만명이 넘는 작가중 경매나 갤러리 전시판매를 통해 작품가가 알려진 건 극소수에 불과하다. 경매로 작품가격이 알려진 작가는 전체의 0.1%라는 통계도 있다.

협회는 이번에 발표한 시가감정 모형과 매뉴얼로 먼저 정부 미술은행에 소장된 작품값을 산출해보기로 했다. 앞으로 작가가 의뢰하면 작품 가격도 책정해줄 예정이다. 이런 시도가 미술품 거래의 대중화와 투명화에 일조하길 기대한다. 부작용 지적에 귀를 열고 각종 결점을 계속 보완해 나가야 하다는게 전제임은 물론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