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회적 대화 무용론]상생형 일자리는 그나마 성과…‘투자 촉진’ 구미형 일자리 모델 나온다
광주형 일자리에 후속으로 내달 1~2곳 상생형 일자리 선정 방침…구미, 유력 거론
구미, 국가산업단지 5곳 위치…LG화학 등 전기차 배터리 제조 기업 대상


[헤럴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나랏돈을 풀어 공공일자리를 늘리는 것과 달리 ‘노사민정(노조ㆍ기업ㆍ민간ㆍ정부)’이 함께 만든 상생형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는 사회적 대화와 타협을 토대로한 성과로 꼽힌다. 이에따라 다음달에는 제2의 ‘광주형 일자리’로 일컫는 ‘구미형 일자리 모델’이 나올 전망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제2의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다음달 발표될 예정이다.

앞서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제2의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 “현재 관련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발의된 상태”라며 “국회가 열린다면 최우선으로 통과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난 19일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 수석도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즉 상생형 일자리를 활성화해야 한다. 6월 내에는 한두 곳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 업계와 정치권에서는 다음달 발표 예정인 제2의 광주형 일자리로 경부 구미를 기반으로 한 ‘구미형 일자리’가 선정될 가능성을 높다고 내다보고 있다. 구미는 국가산업단지 5곳이 위치하고 있는 곳인데다 경북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시장이 이끌고 있다. 장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며 줄기차게 정부에 ‘상생형 일자리’ 사업 추진을 요청해온 것을 알려졌다. 구미시는 구미형 일자리 사업을 위해 LG화학 등 전기차 배터리 제조 기업들을 대상으로 접촉을 벌이면서 공단 부지 파격 임대, 대출 규제 완화, 세금 할인 혜택 등과 같은 인센티브도 마련 중 이다.

구미시가 적극적으로 구미형 일자리 사업에 나선 배경은 실업률이 높아진 때문이다. 삼성·LG 등 구미지역에 위치했던 대기업 공장이 최근 10년 새 수도권과 해외로 이전해 침체의 늪에 빠졌다. 구미 산업단지 근로자는 2015년 10만3818명에서 지난해 10만명(9만419명) 선이 무너졌다. 산업단지 가동률은 40%가 채 안 되는 상황이다. 실업률은 2014년 2.7%에서 지난해 말 4.6%로 높아졌다. 구미시가 지역 경제를 되살리는 ‘불씨’로 구미형 일자리 사업을 선택했다는 의미다.

무엇보다 구미형 일자리는 미래산업을 국내 유치한다는 점에서 진전된 모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광주형과 달리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지 않고 기업이 직접 투자해 법인을 세우기로 한 점도 진일보한 변화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선수주-후생산’ 형태로 만들어진다. 물량을 수주한 뒤 공장에서 생산라인을 가동하기 때문에 추후 판매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LG화학이 지금까지 수주한 물량이면 향후 구미시 생산라인에 1000여명을 고용해도 10년간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광주형이 생산 후 판매실적이 다음 해 생산에 영향을 주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