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바이오헬스 육성대책 발표 의미] 3대 주력산업 ‘바이오헬스’…핵심전략은 ‘혁신 생태계 조성’
비메모리 반도체·미래차와 함께
향후 10년먹거리 산업으로 키워
인허가 규제혁신등 인프라 구축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10년후 한국을 먹여살릴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대책이 발표됐다. 바이오헬스 산업을 둘러싼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혁신성장을 꾀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22일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면서 ‘혁신 생태계 조성’에 방점을 찍었다. 기술개발부터 인허가, 생산, 시장출시까지 산업 전주기에 걸쳐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이다.

먼저 기술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바이오헬스 혁신의 핵심기반이 데이터라는 인식에 따라 ‘5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원인불명 유전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선 환자들의 정보를 한데 모아 빅데이터 연구가 필요하다는 현장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최대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가 핵심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유전체 정보, 의료이용ㆍ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정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에 안전하게 보관된다.

연구자들은 데이터를 신약, 의료기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오는 2029년까지 100만명 규모로 구축하는 게 목표다.

또 ‘데이터 중심병원’을 지정해 병원별로 축적된 임상진료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당장 내년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이 밖에 신약 후보물질, 바이오특허, 공공기관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도 마련된다.

재원 투입도 대폭 확대한다. 연간 2.6조원 수준인 정부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를 2025년까지 4조원으로 확대한다. 금융ㆍ세제 지원도 강화한다. 15조원 규모로 조성 중인 ‘스케일업 펀드’를 활용, 향후 5년간 2조원 이상의 정책금융을 바이오헬스 분야에 투자한다. R&D 세액공제 대상에 바이오베터 임상시험비를 추가하고, 현행 5년인 이월기간을 연장한다.

규제 혁신 방안도 뚜렷하게 담겼다. 식약처 내 허가ㆍ심사를 맡는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신약에 대한 우선ㆍ신속심사제를 도입한다. 융복합 제품은 개발단계부터 사전상담, 신속 품목분류 등을 통해 인허가 예측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생산과 시장출시 단계선 직간접적인 지원방안이 제시됐다.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은 세계 2위 규모지만 세정제 등 소모품부터 생산장비까지 대부분의 원ㆍ부자재를 수입하고있는 현실을 개선한다. 생산시설 가동에 필요한 원ㆍ부자재와 장비를 국산화할 수 있게 R&D를 지원할 계획이다. 대형병원을 국산기기 평가센터로 지정하는 등 신기술이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병원시스템 - 병원정보화 - 의약품 - 의료기기’ 등 패키지를 동반 수출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나선다.

정부는 보건의료기술진흥법 등 법령 제ㆍ개정, 예산 반영, 제도개선 등 분야별 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갈 방침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이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보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정경수 기자/kwat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