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칼럼-박인호 전원 칼럼니스트]‘귀농·귀촌 50만 시대’ 뒤집어 보기
요즘은 ‘귀농ㆍ귀촌 50만 시대’라고 한다. 2017년에만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ㆍ귀촌인이 34만6759가구, 51만6817명에 달했다. 이중 귀농가구는 1만2630가구(1만9630명), 귀촌가구는 33만4129가구(49만7187명)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전체 농가 수는 해마다 줄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8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농가는 102만838가구로 2017년의 104만2017가구에 견줘 2만1179가구(2%)나 또 줄었다. “귀농ㆍ귀촌 50만 시대가 과연 맞는가” 하는 의구심이 고개를 드는 이유다.

귀농ㆍ귀촌은 농가 증가의 원천이다. 먼저 귀농의 경우 모두 농가 증가분에 해당한다. 2018년 귀농 통계는 오는 6월 말께 발표되는데, 청년 창업농 지원 등에 힘입어 2017년 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2017년 수준으로 산정하면 1만2630가구다.

‘귀농ㆍ귀촌 50만 시대’의 96%를 차지하는 귀촌은 농가 증가의 기여도에서도 귀농을 압도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귀촌가구 중 19.7%는 귀촌 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촌 2년차에 농가로 전환한 비율이 78.3%에 달했다. 이를 적용해보면 2017년에 귀촌한 33만4129가구 중 5만1539가구(전체 19.7%인 6만5823가구의 78.3%)가 2018년 농업으로 전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2018년 전체 귀농ㆍ귀촌가구에서 농가 증가분(추산)은 6만4169가구나 된다. 이런데도 전체 농가 수가 2만1179가구나 줄었다는 것은 선뜻 납득하기 어렵다. 애초 귀농ㆍ귀촌 통계에 거품이 낀 것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이 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뒤집어 보아야할 또 한 가지 팩트는 ‘젊은 층’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체 귀농·귀촌인구 중 40세 미만 젊은 층이 절반(2017년 50.0%)을 차지한다고 홍보한다. 또한 2018년부터 2030 청년 창업농 1600명을 선발해 3년에 걸쳐 영농정착 지원금을 주는 등 젊은 층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통계청의 ‘2018년 농림어업조사 결과’를 보면 2017년 대비 연령별 농가인구의 경우 30~39세는 9% 줄었고, 29세 이하는 12.1~14.4%의 감소세를 보였다. 농가 경영주의 연령별 현황을 보면 더욱 심각하다. 40세 미만은 17.8%, 40~49세는 15.9%나 급감했다. 전체 농가 경영주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낮아져 40세 미만이 0.7%, 40~49세는 4.9%에 불과하다.

사실 화려한 ‘귀농ㆍ귀촌 50만 시대’는 절대다수인 귀촌 인구에 의해 좌지우지된다. 그런데 이 귀촌 통계는 현실과 동떨어진 기준 탓에 혼선과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 예컨대 수도권과 광역시 일대 읍·면지역에 들어선 신도시, 지방의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로의 유입인구(직장인ㆍ자영업자ㆍ아파트거주자)는 거의 귀촌인으로 집계된다. 2013년과 2014년의 경우 애초 귀촌인구는 각 3만7442명, 6만1991명으로 발표되었지만, 이후 새 기준을 적용해 각 10.8배(40만5452명), 7.1배(43만9535명)나 불어났다. 귀촌 거품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제라도 귀촌 통계에 대한 기준을 현실에 맞게 보완해 거품을 뺀 디테일한 데이터에 기초한 올바른 귀농ㆍ귀촌 정책 수립 및 시행이 이뤄져야 한다.

박인호 전원 칼럼니스트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