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퇴 뒤 소비수준 절반 이하” 49%
하나금융硏 연금수급자 보고서

은퇴 고령자 절반 가량의 씀씀이가 현역 시절 대비 반토막난 것으로 조사됐다. 버는 돈이 급격히 줄어든 결과다. 국민연금은 노후에 큰 보탬이 되지 않았다.

하나금융그룹 산하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런 내용을 담은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를 22일 펴냈다. 국민연금 수급자(65세~74세)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응답자의 48.6%가 은퇴하기 전과 비교해 소비수준이 50% 밑으로 떨어졌다고 응답했다. 씀씀이가 30% 미만으로 줄었다는 응답자도 전체의 15.8%였다. 퇴직해도 소비수준이 현역시절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0.6%에 그쳤다. 돈벌이가 변변치 않은 탓에 계층이 하락했다는 인식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 은퇴 전 스스로를 상류층으로 봤던 응답자의 81%가 퇴직 후 중산층으로 이동했다고 답했다. 6.3%는 저소득층으로 떨어졌다고 했다.

국민연금은 은퇴자에게 구원책이 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노후생활 비용은 201만원이었다. 통계청 발표 최소 노후 생활비용 183만원보단 많았지만 여가가 포함된 적정 생활비용 수준인 264만원엔 미치지 못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61.5%는 연금 전액을 생활비로 쓴다고 응답했다. 국민연금 수급액이 노후 전체 생활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5.3%였다. 부족한 생활비는 근로소득(24%), 예적금(13. 4%), 배우자 소득(10.7%), 자식ㆍ친척 지원금(7.4%) 등으로 채웠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노후에 발생할 의료비까지 고려하면 현재 충분한 노후자금을 마련하지 못한 고령자들은 생활비용을 충당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은퇴한 연금 수급자들은 통상 40대 시절부터 노후자금 마련에 나섰다. 41.5%가 40대부터 본격적인 노후자금을 준비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당장 보유한 노후생활비용은 적정한 생활비에 미치지 못했다. 보유한 금융자산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평균 82세로 평균수명이 길어질수록 생활대책은 막막할 것으로 조사됐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고령자 가운데 13.9%가 40대 이전부터 노후자금을 모으기 시작했다고 답했다. 집이 없는 고령층의 응답률보다 2배 높은 수준이다. 주택을 가지고 있다면 노후 준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설문에 참여한 은퇴 고령자의 73% 이상이 ‘비재무적’ 은퇴준비도 노년기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다. 특히 건강(30.3%)과 나만의 여가(20.3%) 등이 중요한 비재무적 준비활동으로 꼽았다.

하지만 경제적 여력(51.4%), 시간(35.2%) 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실질적인 비재무적 준비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주필 하나은행 연금사업본부장은 “연금 수급자의 소비생활과 노후자금 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해 연령별, 소득계층별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규 기자/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