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에선 파업 밖에선 압박…르노삼성 ‘진퇴양난’
- 노조 22일까지 지명 파업…피해액 2200억원 커져
- 지역본부 재편으로 신흥국과 생산성 경쟁 불가피
- 생산비용 높아지면 후속 물량 배정 어려워질수도
- 원만한 교섭이 최우선…“대화 창구 조속히 마련”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르노삼성자동차가 르노그룹의 지역본부 재편으로 성패의 갈림길에 선 가운데 노동조합이 공정별 파업을 선언하며 노사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대화 창구를 마련하지 못한 채 독자 생존이란 고민까지 엎친 데 덮친 격이다.

르노삼성 노조는 지난 20일부터 지명 파업에 사흘간 돌입했다. 노조에서 지명한 근로자는 공정별로 돌아가며 파업한다. 20일 조립 공정에서 시작해 21일과 22일에는 조립ㆍ도장ㆍ차체 공정 구역을 나눠 파업이 진행된다.

이달 11일 기준 부분파업은 총 44차례 168시간이었다. 22일까지 지명파업을 합치면 총 192시간으로 늘어난다. 업계가 추산한 피해액은 약 2200억원에 달한다.

부산공장 가동률도 악화일로다. 지난 1월 75%에서 지난달 70%로 줄었다. 이번 주 5일 가운데 3일 동안 지명 파업이 이뤄지면 가동률은 40%까지 급감할 것으로 관측된다. 파업이 일부에서만 진행되더라도 모든 라인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으면 생산량 감축은 불가피하다.

르노그룹이 르노삼성차를 아시아ㆍ태평양 본부에서 아프리카ㆍ중동ㆍ인도ㆍ태평양 본부 소속으로 전환한 결정도 득보다 실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중국시장에 무게가 실렸던 아ㆍ태 지역에서 벗어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르노삼성의 R&D 역량이 빛을 볼 수도 있겠지만, 생산비용이 낮은 신흥국과의 경쟁이 불 보듯 뻔한 탓이다.


실제 르노는 올해 3분기 인도에서 신흥국 전용 MPV(Multi Purpose Vehicleㆍ다목적차량) 신형 모델을 생산한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전장이 4미터 이하의 소형 모델이지만 판매량 추이에 따라 추가적인 신차 배정이 이어질 여지도 남아있다. 대량 생산체계는 낮은 비용과 높은 생산력을 지향할 수밖에 없다.

관건은 9월 계약이 종료되는 닛산 로그의 후속 물량 배정이다. 실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북미 수출용이 사라지면 르노삼성의 자생력이 사라질 수 있다. 닛산이 최근 북미 수출용 차량의 관세 부담을 낮추려 미국 공장의 제조물량을 늘리는 것도 부정적이다.

신차 배정은 닛산ㆍ로그 얼라이언스에서 결정한다. 지역본부 변경을 단행한 르노그룹의 방향성과 결이 다르다는 의미다.

결국 르노삼성차의 임단협 교섭이 실마리다. 생산성이 높을수록 신차 배정은 물론 신흥국의 전략 모델까지 부산 공장으로 가져올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르노삼성차가 노조의 부분 파업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얼라이언스의 행보를 예의주시하는 이유다.

부산지역의 부품업체들도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후속 물량 확보 여부를 기다리고 있다. 지난 19일 부품업체 11개사 관계자와 대화를 나눈 오거돈 부산시장은 “르노삼성차의 노사 문제는 자율 협상에 맡겨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르노 본사에 가서 후속 물량 배정을 요구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르노그룹의 지역본부 변경으로 수출망이 확대된다고 장담할 수 없지만, 한국의 R&D 역량과 생산력을 고려하면 신흥국이 많은 지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생산비용의 우위를 점하는 것이 핵심인 만큼 빠른 시일 안에 노사간 대화 창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르노삼성차의 생산량은 2만490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4만1529대)보다 40% 급감했다. 특히 같은 기간 내수는 14.1% 감소한 1만97대, 수출은 41.3% 줄어든 1만5317대로 집계됐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