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세시대 한국 5대질병 정복①] 폐암과 당뇨 국내외 제약사 총공세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수천년 한국제약의 역사는 5+1 만성질환 정복사이다.

한국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5대 질환은 암, 당뇨, 고혈압-혈관질환, 위장관질환, 간질환이다. 여기에 만병의 근원이라고 하는 독감과 근년 들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는 백일해, 로타바이러스가 매년 우리의 아이들을 위협한다.

긴 겨울을 지나 새 봄을 맞으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헤럴드경제는 국내외 제약사들은 어떻게 한국인 만성질환을 정복해 나가고 있는지 짚어보았다.

▶폐암, 면역항암제 생존기간 2배 연장= 20일 국가 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 간(2012~2016년)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6%로 나타났다.

그러나 폐암의 5년 생존율은 27.6%로 낮다. 초기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렵고, 발견했을 땐 이미 암이 진행된 경우가 많아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2년전부터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전체 폐암의 80%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특정 유전자 변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부작용이 적지 않았던 ‘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옵션이었지만, 2017년 3월,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허가 받으면서는 말기 폐암 환자들에게 희망이 생긴 것이다.

올해 1월 미국 임상종양학회 학술지인 ‘임상종양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첫 치료제로 면역항암제를 투여할 경우 전체 생존기간은 30개월로, 항암화학요법(14.2개월)에 비해 생존 기간이 2배 이상 연장됐다. 이미 2016년 10월 ‘뉴 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데이터에서는 질병 진행의 위험 혹은 사망 위험이 50%, 사망 위험은 40%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세계 30여개국이 1차 치료제로서 이 약의 보험 급여를 적용하고 있지만 한국은 적용하지 않아 환자들은 1년에 약 1억원을 써야 한다.

폐암 등 치료를 위한 면역항암제 개발에는 한미약품, 유한양행, 동아에스티, 보령바이젠셀, 에이비엘바이오, 암젠, 애브비 등이 조금씩 다른 기전과 양태로 개발중이다.

▶당뇨, 최신 신약은 국산 ‘슈가논’…심혈관 연계 증상엔 포시가= 당뇨는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질환으로 진단 이후 지속적인 약물복용이 필요하고, 고지혈증이나 고혈압과 같은 다양한 동반질환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여러 가지 약제를 동시에 복용하는 가능성이 높은 질환 군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환자의 복용 편의성이 개선된 약물에 대한 요구가 크다.

동아에스티가 개발한 슈가논은 에보글립틴 5㎎을 주성분으로 하는 DPP-4(Dipeptidyl peptidase-4) 저해기전의 경구용 혈당강하제이다. 식사 및 운동요법 또는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충분하지 않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는 혈당을 낮춰주는 GLP-1을 분해하는 효소인 DPP-4를 억제해 GLP-1의 작용기간을 연장함으로써 당뇨병을 치료한다.

슈가논의 주성분인 에보글립틴의 선도화합물은 2005년에 최초로 개발되었고, 일찌감치 2012년 인도에 기술수출이 이뤄졌다. 이후 비임상과 임상 1, 2, 3상을 거쳐 2015년 식약처로부터 국내 26호 신약으로 허가 받았다. 성분명 에보글립틴(Evogliptin)은 진화(Evolution)와 글립틴(Gliptin)의 합성어로 현재까지 승인 받은 DPP-4저해제의 장점을 고루 갖춘 약물을 의미한다.

에보글립틴 단독요법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시험에서는 당뇨환자에서 효과적인 혈당강하와 우수한 목표혈당 도달률이 확인됐다. 동아에스티는 2016년 3월 슈가논을 국내에 발매했으며, 올 4월 인도 시판을 앞두고 있다. 러시아, 브라질에서도 임상 막판 3상이 진행돼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심혈관계와 연관된 당뇨치료제로는 아스트라 제네카의 포시가가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활용되고 있다. 신장에서 포도당의 재흡수를 저해함으로써 소변을 통한 포도당의 배출을 촉진시켜 혈당을 낮추진 인슐린 비의존적인 작용기전을 갖는다. 4개월전 미국심장협회가 이 치료제의 심혈관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