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고 한번 쳐봐?”소리예술 창극, 中 경극을 품다
국립창극단 내달 5일~14일 ‘패왕별희’ 공연
대만의 스타 연출가 우싱궈와 소리꾼 이자람
두 사람의 만남 만으로도 ‘새로운 도전’ 그 이상
우싱궈 “판소리의 내적 요소 시각화 가장 어려워”
장국영의 영화 ‘패왕별희’의 레전드 재현할지…



우리에겐 장궈룽 주연 영화로 더 익숙한 경극 ‘패왕별희’가 창극으로 재탄생한다.

국립창극단은 창극 ‘패왕별희’를 무대에 올린다. 연극과 뮤지컬, 서양 고전 등 외부 장르와 거침없는 실험을 해온 국립창극단의 또 다른 도전이다.

이번 도전엔 우싱궈(66) 대만 당대전기극장 대표가 연출로 합류한다. 최근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그는 “판소리는 한국의 가장 빛나는 보물”이라며 “이를 깨뜨리거나 무너뜨리려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최대의 노력으로 판소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우싱궈는 경극의 현대화ㆍ세계화 작업을 이끈 대가로 꼽힌다. ‘리어왕’, ‘템페스트’, ‘고도를 기다리며’ 등 서양 고전을 경극으로 풀어내 국제무대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동시에 경극계에선 정통성 논란을 일으키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번 국립창극단과의 작업은 또 다른 도전이다. 그는 “양국의 역사와 전통이 만나는 작업에 참여하게 돼 영광이지만 동시에 압박도 크다”면서도 “2년전 처음 연출을 제안 받았을 때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했다. 그러나 경극의 위기로 불리는 시대에도 30년간 경극을 해 온 경험이 있기에 자신도 있었다”고 했다.

우싱궈는 세계의 전통문화가 위기에 처했다고 했다. 비단 경극만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모든 것이 빠르게 발전하는 오늘날, 전통은 더 용감해져야한다. 세계 관객과 만나고 현대와 융합할 수 있을 때 더 가치가 있다”

연출을 맡은 대만의 스타 연출가 우싱궈(오른쪽)와, 음악감독을 맡은 소리꾼 이자람. [국립극장 제공]

음악감독은 소리꾼 이자람(40)이 참여한다. ‘억척가’, ‘사천가’ 등 브레히트의 희곡을 창작 판소리로 재탄생시켜 판소리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 이자람과 우싱궈의 만남은 일견 필연으로도 보인다.

최근 첫 연습을 함께한 이 감독은 “배우들의 연습 장면을 보면서 경극과 창극을 하는 사람들의 만남만으로도 무엇인가가 벌어지고, 무엇인가가 탄생을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새로운 도전이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닐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감독은 5대가(수궁가, 춘향가, 적벽가, 심청가, 흥보가)를 바탕으로 이번 작품을 창작했다고 했다. “드라마와 캐릭터를 잘 표현하기 위해 텍스트가 주는 영감 외에도 5대가를 많이 참조했다”

경극 ‘패왕별희’는 춘추전국시대의 초한전쟁, 초패왕 항우와 한황제 유방의 대립, 항우가 패하고 연인 우희와 이별하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창극 ‘패왕별희’는 경극의 서사를 따라가되 항우가 유방을 놓쳐 패전의 원인이 된 ‘홍문연’ 장면과 항우를 배신하고 유방의 편에서 그를 위기에 빠뜨린 한신의 이야기를 추가했다.

창극 대본을 쓴 린슈웨이는 항우와 우희가 이별하고 자결하는 ‘패왕별희’ 장면이 왜 슬픈지 중국의 역사를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 힘들다고 판단, 두 장면을 추가했다. 린슈웨이는 “장궈룽 주연 영화의 전설을 깨트릴 수 있을지, 전통적 이야기가 현대 관객과 잘 만날 수 있을지 고민이 크다”며 “다만 항우와 우희란 두 인물을 영원히 기억하게 만드는 것이 제 목표”라고 말했다.

국립창극단의 이번 실험 성공의 핵심은 경극과 창극의 조화로운 결합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극은 배우의 손끝 하나로 온 세상을 표현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제스처ㆍ걸음걸이ㆍ동작 하나 하나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시각적이고 구체적이다. 이에 반해 창극은 소리 하나로 온 세상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판소리의 창과 아니리, 국악기들의 합주로 만드는 음악 중심의 청각적인 경험이 중요하다. 우싱궈 연출도 “판소리의 내적인 요소를 경극의 시각적인 요소로 표현하는 작업이 가장 어려웠다”며 “기존의 청각적 감동이 경극을 통해 시각적으로도 드러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연은 4월 5~14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열린다. 초나라 항우 역은 정보권(객원)이, 우희는 국립창극단 간판 배우 김준수가, 책사 범증은 허종열이 맡는다.

이한빛 기자/vi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