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려운 경제용어 쓰는 경제전문가 못믿어”…대중의 반발이 ‘브렉시트’ 불러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it‘s the economy, stupid)’라는 말을 한 이는 27년전, 빌 클린턴 대통령이다.

대통령선거에서 사용한 캐치프레이즈로로, 당시 아버지 부시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다 경기가 악화된 걸 조롱한 것이다.

영국에선 1950년 이전까지만 해도 모든 선거 구호에서 경제라는 말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던 게 2015년 총선 때는 보수당 선거공약에서 59차례나 등장했다. 현재거의 모든 나라에서 경제정책에서 신뢰를 얻지 못하는 정당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어렵다. 경제는 이제 정치의 핵, 국가 정책의 중심이 된 것이다.

이런 중요성에도 소수의 엘리트를 제외하면 경제학의 언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이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어려운 경제 언어를 습득한 사람만이 현재 발언권을 누리고 있다며, 이런 사회를 ‘이코노크러시(Econocracy)’라고 부른다. ‘이코노믹스(경제학)’와 권력 통치를 뜻하는 ‘크러시’를 합친 조어로, ‘경제학이 통치하는 사회’란 뜻이다.

경제토론과 의사결정이 소수에 집중되는 이코노크러시는 자유민주주의와 양립될 수 없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시민이 소외돼살아있는 민주적 토론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브렉시트를 이런 이코노크러시에 대한 대중의 반발과 도전으로 본다. 세계의 모든 경제·금융 기관들이 브렉시트가 가져올 파장을 경고했지만 영국 유권자의 52%인 17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들의 조언을 무시하고 경제학자들의 예측을 믿을 수 없다고 결정한 것이다.

경제적 불만을 환기시킬 만한 언어나 공간을 갖지 못할 때 어떤 식으로 시민이 정치적 주권을 행사하는지 보여준 것이다. 이는 또 한편으로 경제전문가들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결과다.

저자들은 2008년 주류경제학의 실패를 예로 들면서 경제전문가들이 복잡한 경제를 다루기에는 자신의 한계가 있음을 받아들이고 집단적이고 민주적인 토론을 통해 경제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선 대중이 이해할 만한 언어로 말하고 소통하는 게 필수다.

저자들은 2012년 맨체스터대에서 일어난 경제학 교육 개혁을 내세운 포스트크래시 경제학회 출신으로, 이들은 꾸준히 경제학 교과과정 개혁을 위한 캠페인을 벌여오고 있다.

현재 맨체스터대와 케임브리지 경제다원주의학회 등 19개 대학과 전 세계 60여개 대학의 경제학과 학생들이 리싱킹 경제학 네트워크에 동참하고 있을 정도로 경제학 개혁 운동은 확산하는 추세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