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대우조선 민영화, 노조가 걸림돌 되어선 안돼
현대중공업과 KDB산업은행이 31일 인수합병(M&A)을 위한 조건부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그 어렵고 힘든 대우조선 민영화의 길이 열렸다. 이로써 현대중공업·대우조선·삼성중공업 ‘빅3’ 체제가 ‘빅2’로 전환하는 조선업 구조개편도 이뤄질 수 있게 됐다.

규모가 거대한만큼 이번 빅딜은 물적분할→현물출자→유상증자 형식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현대중공업을 물적분할해 조선합작법인(상장)과 현대중공업(비상장전환)으로 나누고 산은은 보유한 대우조선 주식 전부를 조선합작법인에 현물출자후 신주를 취득하는 형태다. 산은이 M&A를 통해 당장 회수하는 돈은 없지만 합병회사의 기업가치가 올라가면 과실을 공유하는 구조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수주 잔량 세계 1·2위의 조선사 두 곳이 합쳐져 초대형 조선업체가 탄생한다. 3위인 일본 이마바리의 두배가 넘는 글로벌 톱이다. 일단 합병 조선소는 저가 수주, 출혈 경쟁에서 자유로워진다. ‘규모의 경제’에 적정 이윤까지 확보해 중국 등 후발주자들의 추격을 한동안은 따돌릴 수 있다.

현대중공업이 시장 안정화와 효율성 극대화, 중복 투자 제거, R&D 통합, 재료비 절감, 생산성 증대, 원가 절감 등의 통합 시너지 효과를 자신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현대중공업은 필요하다면 핵심 설계 회사까지 인수해 궁극적으로 엔지니어링 회사로 발돋움하겠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물론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거대한 몸집이 과도한 시장점유율과 독과점 문제를 불러올 수도 있다.어차피 빅3 조선사 간의 합병은 국내뿐만 아니라 유럽, 미국 등 전 세계 경쟁 당국의 기업결합 심사를 피하기 힘들다. 조선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할때 시장에 훼손을 주지않는다지만 설득의 논리를 더욱 단단히 해야만 한다.

무엇보다 강성인 양사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현대와 산은 모두 “이미 대량 감원이 이뤄진 상태여서 인위적 인력 구조조정은 불필요”하다고 했지만 그들은 믿지 않는다. 인수설이 나오자마자 “현대중에 회사 매각은 절대 반대한다”고 밝힌 대우조선 노조다. 13조원 넘는 국민 혈세로 살아났음에도 흑자전환하자마자 임금인상 해달라며 골리앗 크레인 농성을 벌이는게 그들이다. 현대중 노조 역시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노조 찬반 투표를 연기한 채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의 합병은 조선업계뿐 아니라 한국 산업사에 분수령이 될만한 일이다. 노사는 물론 지역사회도 충격 최소화에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